올해 11월 항공여객이 누적 1억명을 돌파했다. 중국노선 여객 회복세와 해외여행객 증가에 따른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11월 항공여객이 작년 동월 대비 5.6% 증가한 957만명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11월 실적으로는 역대 최고치다.
11월 1일 기준으로 올해 누적 항공여객이 1억명을 돌파, 역대 최단 '1억명 돌파' 기록도 세웠다.
국제선 여객은 작년 같은 달보다 8.8% 증가한 701만명을 기록했다. 이 역시 역대 최고실적이다. 중국노선 여행객 지속 증가, 저비용항공사(LCC)의 공급석 확대, 노선 다변화 등의 영향이다.
특히 중국노선 여객은 132만명으로 지난해 11월보다 24% 증가했다. 이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논란 이전인 2016년 11월보다 3.4% 낮은 수준이지만, 국토부는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대양주(-13.2%)를 제외한 유럽(12.6%), 동남아(7.6%), 일본(4.8%) 등 노선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국제선 여객 실적을 항공사별로 보면 국적 대형항공사(FSC)가 0.9% 증가했고, 국적 LCC는 14.8% 늘었다. 국적사 분담률은 67.9%다.
공항별로는 중국노선 여객 증가 및 노선 다변화로 제주(81.6%), 무안(224.4%), 청주(158.3%), 양양(57.1%), 대구(23.1%) 등 전 공항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선 여객은 운항 증편에도 불구하고 운항 공급석 감소와 제주여행 수요 하락 등으로 작년 동월 대비 2.5% 줄어든 256만명을 기록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FSC 여객이 105만명으로 작년보다 5.6% 감소했고, LCC는 152만명으로 0.2% 줄어 59.1%의 분담률을 기록했다.
공항별로는 울산(25.2%)과 인천(1.2%)은 증가했지만, 광주(-8.4%), 김해(-6.9%), 청주(-3.9%), 대구(-3.8%), 제주(-2.0%) 등은 줄었다.
11월 항공화물은 유럽·동남아 등 지역의 물동량 증가로 0.3% 증가한 38만t을 기록했다.
진현환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항공여객 1억명 돌파가 지난해(2017년 11월 18일)에 비해 17일 앞당겨 달성됐다"며 "최근 중국노선 여행객 증가세를 고려할 때 올해 항공운송시장 성장세는 역대 최고치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