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와 경찰, 소방 등의 정보시스템 연계사업에 민간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표준화된다.
국토교통부는 도시 안전서비스에 필요한 표준과 공통 UI(사용자 환경)를 마련하고 오는 30일 엘더블유(LW)컨벤션에서 기업과 지자체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연다고 29일 밝혔다.
API는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뜻한다.
기존에는 정부 연구개발(R&D)로 개발한 연계 서비스만 도시 안전망 구축 사업에 활용했다. 앞으로는 민간기업이 개발한 다양한 서비스도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연계서비스는 112센터 긴급영상 지원, 112 긴급출동 지원, 119 긴급 출동 지원, 재난안전상황 지원, 사회적 약자 지원 등이 있다.
그간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관련된 긴급 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지자체, 경찰, 소방 등 국가 재난안전체계를 연계해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정부는 지난 2015년부터 관계기관 간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자체와 112·119 등 공공안전분야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하는 스마트 도시 안전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시의 경우 112·119망 연계로 지난해 1만5117건의 CCTV 영상 정보를 제공해 2016년 대비 범죄율이 6.2% 감소한 반면 검거율은 2.7% 증가했다. 119는 출동시간 단축(7분26초→5분58초), 7분 이내 출동률을 개선(63→78%)했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기업·혁신 도시, 주민 30만명 이상의 전국 80개 지자체에서 도시안전망 연계를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연말까지 22개 지자체의 구축 사업이 완료된다.
또 지난해 통합플랫폼 표준에 이어 이번 연계서비스 표준 마련으로 민간 솔루션기업의 참여가 활성화돼 스마트시티 소프트웨어(S/W) 산업 발전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정희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표준화를 계기로 각종 정보시스템의 연계·운영을 촉진하고 침체된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활성화, 국민 안전서비스가 한층 업그레이드 되도록 안전기관간 정보시스템 연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