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LG CNS와 의료AI 스타트업 루닛이 공공보건 AI 분야 사업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LG CNS 정운열 상무(왼쪽)와 루닛 서범석 대표이사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하는 모습. /LG CNS
IT 대기업들이 스타트업과 손잡는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미래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오픈 이노베이션이란 기업이 연구·개발·상업화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는 경영전략 가운데 하나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해 의료 AI 스타트업 루닛과 MOU를 체결했다. LG CNS는 IT 서비스 기업 최초로 공공 클라우드 인증을 획득했으며 30년간 축적한 IT 사업역량을 보유한 기업이다. 세계 100대 AI 스타트업에 선정된 의료 AI 기업 루닛과 역량을 합쳐 의료용 엑스레이 분석을 15초 만에 끝낼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를 통해 의사들은 신속하게 폐질환 진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랩스는 지난 14일 차량공유 기업 쏘카와 자율주행기술 기반 운전자 보조기술 및 정밀지도 사업을 위해 손잡았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각자의 전문 역량을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과 정밀 지도 개발을 맡아 쏘카의 안전운행에 기여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스타트업 파트너들과의 상생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적극적이다. 대표적으로 카카오는 지난 2015년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 '국민내비 김기사'를 제작해 서비스하는 록앤올 지분 100%를 642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국내 스타트업 업계 기준으로 최고가의 인수합병이어서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을 끌었다. 록앤올의 핵심 인력들이 주축이 되어 현재 카카오내비 서비스가 탄생했다.
이외에도 2016년 주차 서비스 스타트업 '파킹스퀘어'를 인수해 현재의 카카오 T 주차를 만들었고, 주문 중개 스타트업 '씨엔티테크'에 투자해 카카오톡 주문하기 서비스의 토대를 구축했다.
기업들은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과 투자도 활발하게 지속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10월 향후 5년간 사내외 스타트업 과제 500개를 육성해 국내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에 기여할 방침이다. 삼성전자가 지원할 500개의 스타트업 과제 중 300개는 사외 스타트업 대상이고, 200개는 삼성전자 내부 임직원 대상이다.
최근에는 전기차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자율주행 로봇 '에바(EVAR)'와 전신 마취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호흡 재활솔루션 '숨쉬GO' 등 2개 과제가 스타트업으로 독립했다.
LG전자는 지난 3월 유망 스타트업 발굴과 육성을 위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MOU를 체결했다. LG전자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추천한 스타트업 중 유망업체를 선정해 웹OS 개발 노하우를 전수하고,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있는 LG사이언스파크에 업무공간을 마련해 지원하고 있다.
네이버는 기술 투자에 활발한 모습이다. 네이버는 기술 스타트업 투자·지원 프로젝트인 D2 스타트업 팩토리(D2SF)를 통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9월 D2SF는 헬스케어 분야 기술 스타트업 3곳에 신규 투자를 단행했다.
신규 투자 대상이 된 스타트업은 딥러닝 기반의 음식 및 영양정보 분석 솔루션을 개발 중인 두잉랩, 원격 심리상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아토머스, 수면 개선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 중인 아모랩이다.
카카오는 스타트업의 성장 주기에 맞는 단계적인 투자를 위해 2015년 3월, 지분 100%를 인수한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 카카오벤처스를 통해 초기 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카카오벤처스는 현재까지 총 140개 스타트업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했고, 이 중 6개 회사의 인수합병이 성사됐다.
2015년 1월, 카카오가 자본금 1000억원을 투자해 설립한 투자전문자회사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자동차 외장수리 서비스 카닥 등 일정 규모 이상 성장한 벤처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하나의 기업이 가진 기술만으론 성공하기 어려운 시대임을 깨닫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MOU도 맺고 있다"며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대기업과 스타트업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들이 최근 3년여에 걸쳐 4차 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한 금액이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