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를 운행하는 화물차 운전자 10명 중 2명이 안전띠를 미착용한 것으로 나타나, 도로공사가 홍보에 나섰다.
6일 한국도로공사의 안전띠 착용 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항상 안전띠를 착용한다'고 응답한 운전자는 76%로 집계됐다.
이어 '가끔 착용한다'는 운전자가 21%, '전혀 착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운전자도 3%에 달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올 여름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및 졸음쉼터에서 화물차 운전자 1135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설문 결과 화물차 운전자의 안전띠 착용률은 운전경력이 많고 연령이 높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띠를 잘 착용하지 않는 이유는 '불편함'이 6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안전띠 불필요(18%),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7.7%), 내 차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7.4%), 단속을 잘 안하기 때문(6.8%) 순이었다.
안전띠가 불편한 이유는 안전띠 조임(50%), 장거리 운행 시 허리·어깨 등 통증 발생(33%), 통행권 수취 및 정산시 불편(17%) 등으로 집계됐다.
'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를 설치한 경우 미설치 시(71%) 보다 높은 80%의 착용률을 보였다. 평소 안전띠의 중요성을 접하는 홍보 매체의 비율은 고속도로전광판(32%), 라디오(27%), TV(26%), 캠페인(15%) 등으로 조사됐다.
고속도로의 안전띠 미착용 사망자 수는 10월 말 기준으로 올해 전체 사망자 190명의 25%인 48명에 이른다. 2016년과 2017년에도 안전띠 미착용 사망자수가 각각 60명과 51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도로공사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착용률이 낮은 운전자를 대상으로 '안전띠 착용 매칭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한 안전띠의 불편함 개선, 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 설치 강화 등을 위해 유관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앞좌석의 교통사고 치사율은 2.8배, 뒷좌석은 3.7배 높아진다"며 "나와 내 가족의 생명을 쉽게 지킬 수 있는 안전띠를 반드시 착용하고 운전하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