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넷째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
정부의 9·13 대책 이후 처음으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값이 하락 전환했다.
25일 한국감정원의 '주간 아파트값 동향 조사'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3% 올랐다. 지난 6월 첫째 주(0.02%) 조사 이후 20주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강남 3구는 9·13대책 발표 이후 5주 만에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강남구와 서초구는 지난주 매매가가 각각 0.01%, 0.03% 올랐다가 이번 주 나란히 0.02%씩 내렸다. 서초구는 6월 셋째 주 이후 18주 만에, 강남구는 7월 셋째 주 이후 14주 만에 첫 하락이다.
송파구도 지난주 0.01% 상승에서 이번 주 0.04% 하락으로 전환했다. 7월 둘째 주 이후 15주 만의 하락으로, 강남 3구 내에서도 낙폭이 가장 컸다. 이처럼 강남 3구의 약세로 동남권(강남 4구) 아파트값은 -0.01%를 기록하며 15주 만에 마이너스로 진입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강남 3구는 9·13 대책 및 9·21 대책의 영향으로 호가 하락세가 확산되고 매물이 소폭 누적되며 하락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강남권 외에는 아직 아파트값이 통계상 하락한 곳이 없다.
지난주 0.06% 올랐던 강북권은 올해 0.05% 상승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종로·중구는 중소형과 그간 상승폭이 낮았던 주상복합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으나, 정부 대책으로 관망세가 확산되며 마포·은평·서대문·도봉·노원구 등은 상승폭이 축소됐다.
이번 주 경기도 아파트 매매값은 0.11% 오르며 지난주(0.08%)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등 호재의 영향이다. 용인시도 수지(0.50%)와 기흥구(0.47%)의 호가가 강세를 보이면서 지난주 0.24%에서 이번주 0.42%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한편 지방 아파트값은 지난주 -0.02%에서 금주 -0.04%로 낙폭이 확대됐다. 부산이 지난주 -0.06%에서 이번주 -0.10%로 하락폭이 커졌고, 세종시도 지난주 대비 0.08%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