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6년 말 모 국립대 병원에 입원 중이던 40대 A씨는 밤늦게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주사 바늘과 과도를 들고 병동 간호사들을 위협했다. A씨는 출동한 경찰의 제지로 소동을 멈췄다.
#2. 같은 해 다른 환자는 모 국립대 병원에서 회진하던 B 교수의 관자놀이를 샤프로 가격했다. B 교수는 얼굴 부위를 5바늘 꿰매야 했다.
국립대병원에서 환자나 보호자들이 폭력과 욕설로 난동을 일으키는 사례가 급증해 의료인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24일 전국 10개 국립대학병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4년간 발생한 폭행·난동 사례는 286건(응급실 내 114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박경미 의원실에 따르면, 2014년 24건(응급실 8건)에 불과했던 폭행·난동 건수는 2015년 29건(응급실 11건), 2016년 71건(응급실 35건), 2017년 66건(응급실 26건)으로 늘었다. 올해 1~9월에만 96건(응급실 34건)의 폭행·난동이 발생해 이미 4년 전의 4배로 뛰었다. 특히 응급실에서 일어나는 폭행·난동도 급증하고 있어 다른 환자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환자가 의료진을 성추행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2014년 진료차 모 병원 통증센터를 찾은 70대 남성 C씨는 간호사실 앞 데스크에서 업무를 보던 여의사 D씨의 엉덩이를 2차례 만졌다. 의사의 성추행 신고를 받은 경찰은 C씨를 연행했다.
응급실에서는 환자의 난동으로 위험천만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2016년 지방 모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퇴원을 권유 받은 E씨는 퇴원을 거부하다 의료진에게 폭언하며 소화기를 분사했다.
환자나 보호자는 대체로 의료진의 진료에 불만을 품고 폭력과 욕설을 일삼았다. 특히 286건의 폭행·난동 중 47건(16.4%)은 주취자가 저질렀다.
박경미 의원은 "상황에 따라 심신이 약해진 환자나 보호자 입장에서 의료진에게 불만을 가질 수는 있겠지만, 과도한 폭력으로 이어지는 상황은 의료진 뿐만 아니라 다른 환자의 안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병원 내 난동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마련과 예방을 위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