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산하 준정부기관, 공공기관, 공기업 23개 임원 현황./출처-알리오, 정리-채신화 기자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들이 여전히 '여성임원 가뭄현상'을 보이고 있다. 여성이 기관장인 곳은 1곳에 불과하고,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관도 7개에 달한다. 정부의 여성 관리자 확대 정책과는 거리가 먼 모습이다.
19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임원현황을 보면 국토부 산하 준정부기관·공공기관·공기업 23곳 중 여성 기관장이 있는 곳은 코레일유통(공공기관) 한 곳뿐이다. 이 외 공공기관 9개와 준정부기관 5개, 공기업 8개의 기관장은 모두 남성이다.
전체 임원 수로 따져보면 총 225명(공석 제외) 중 남성이 92%(207명)를 차지하고 있다. 여성 임원은 8%(18명)에 불과하다.
심지어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는 곳도 있다.
한국건설관리공사,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철도공사 등 7곳은 여성 임원이 전무하다. 특히 한국철도공사의 경우 15명의 임원 중 여성은 한 명도 없다. 한국건설관리공사도 10명에 달하는 임원이 모두 남성이다.
나머지 16곳의 여성 임원도 코레일 유통 김은순 기관장 및 상임이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장옥선 상임이사를 제외하면 모두 비상임이사다.
LH는 임원 14명 중 3명이 여성으로, 여성 임원이 가장 많은 곳이다. 코레일유통도 임원 7명 중 2명이 여성인데, 김은순 기관장이 상임이사까지 겸하고 있어 직책으로만 따지면 여성이 세 자리를 꿰차고 있다.
그러나 기관 유형별로 따지면 여성 임원 비율은 더 낮아진다.
공공기관만 보면 총 10곳의 전체 임원 73명 중 5명만 여자로, 비율은 6.8%에 불과하다. 공기업도 8곳의 전체 임원 97명 중 여성 임원이 9.30%(9명)뿐이다. 준정부기관 5곳도 전체 임원 55명 중 여성 임원은 4명으로 7.3%에 그친다. 기관 유형별로 여성 임원의 비율이 전체에서 10%를 못 넘는 셈이다.
이는 정부의 '여성 유리천장 해소' 계획과도 동떨어지는 모습이다.
정부는 지난해 정부 합동으로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을 세우고 오는 2022년까지 공공기관 여성임원을 20%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성가족부가 올해 상반기 추진실적을 점검한 결과, 공공기관 임원의 여성 비율이 14.3%까지 올라 목표치인 13.4%를 웃돌았다. 그러나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만 따지면 6.8%로 전체 공공기관 임원의 여성 비율의 반 토막도 채 안 된다.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을 포함해 준정부기관, 공기업 등에서도 목표치를 채운 곳은 거의 없다. 코레일유통(28.6%), 한국토지주택공사(21.4%)만 20%를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