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억원대 뇌물과 350억원대 다스 횡령 등 혐의를 받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자신의 모든 재판에 출석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정계선 부장판사)는 오는 17일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뇌물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전 대통령의 세 번째 준비기일을 열고 증거조사 일정 등 계획을 잡는다. 첫 정식 재판은 23일 열린다.
이 전 대통령은 첫 공판기일에 출석해 모두진술로 자신의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다만 증거조사 기일에 77세 피고인이 아픈 몸을 이끌고 장시간 앉아있어야만 하느냐는 것이 이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의 입장이다. 이 전 대통령은 당 수치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10일 열린 2차 준비기일에서 그가 불출석한 상태에서 증거 조사 할 수 있는 방법을 구했다. 조사는 약 14일에 걸쳐 진행될 전망이다.
재판부는 일주일에 두 차례 진행하는 재판에서 한 시간에 10분 씩 휴정하기로 했다. 이 전 대통령이 검찰의 증거에 모두 동의해, 증인 신문 절차가 대폭 줄어서다.
다만 이 전 대통령은 검찰의 입증 취지는 전부 부인한다는 입장이다.
이 전 대통령과 검찰 측은 증거 조사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증인 신청을 이어가기로 했다. 별도 증인 신청이 이어질 경우, 재판은 일주일에 3회로 늘어날 수 있다.
앞서 일주일에 4차례 국정농단 재판을 받았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건강상 이유를 들어 관련 재판에 나타나지 않았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증인신문이 예정됐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재판에 발가락 부상을 이유로 나타나지 않았다. 7월 이 부회장이 증인으로 출석한 자신의 재판에도 같은 사유로 불출석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자신의 구속 연장에 반발해 지난달 6일 선고까지 재판에 불출석했다. 그는 지난 9일 허리 통증 치료를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을 찾았다.
변호인단이 건강상 이유를 들어 불출석을 타진한 이 전 대통령 역시 '출석률 100%'를 기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전 대통령은 객관적 물증으로 방어하기 위해 검찰 증거에 동의한 만큼, 자신의 건강을 이유로 주요 증인을 피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전 대통령의 한 측근은 "구속 전날 그가 보인 태도가 당당했다"며 "지금 검찰이 엉뚱한 곳을 겨누고 있다는 취지로 자신감을 내비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