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819억원을 투입해 공공시설물 내진율을 2020년까지 80.2%로 끌어올리는 '서울시 지진안전종합대책'을 15일 발표했다.
이번 지진안전종합대책은 2016년 시가 발표한 지진방재 종합계획과 포항·경주 지진피해 사례를 반영한 결과다. 이번 대책은 ▲공공시설물 내진 보강 강화 ▲민간건축물 내진성능 점검지원 체계화 ▲지진 등 재난피해자 심리지원 강화 ▲체험형 훈련 및 교육시설 확대 등으로 구성된다.
서울시 공공시설물은 총 3431곳으로 현재 내진율은 62.5%다. 시는 기존에 내진성능이 100% 확보된 수도시설(175곳), 공동구(7곳), 시립병원(17곳), 수문(3곳) 외에 공공건축물(2035곳), 도시철도(604곳), 도로시설물(579곳), 하수처리시설(11곳)의 내진율을 높이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우선 시 소관 공공건축물의 내진율은 현재 61.4%(634개소 중 389개소 내진성능확보)로 2020년까지 709억을 투입, 134개소 내진보강공사를 실시해 내진율을 82.5%까지 끌어올린다.
특히 자치구 소관 공공건축물 1401개소 중 내진성능이 미확인된 624개소에 대해 시비 125억원을 지원하고, 내년까지 내진성능평가를 완료할 예정이다. 시는 결과에 따라 자치구 공공건축물의 내진율도 대폭 향상될 것으로 내다본다.
시민 이용이 많은 도시철도의 경우 내진보강이 필요한 53.2㎞에 대해 국내 내진설계기준(지진규모 6.3)을 확보하기 위해 2013년 3월부터 단계적으로 보강 공사중이다. 시는 938억원을 투입해 2020년까지 발주를 완료하고 2022년까지는 내진율 100%를 확보할 예정이다.
현재 85.2%의 내진 비율을 보이는 교량, 지하차도 등 도로시설물은 487억원을 투입해 2019년까지 내진보강을 완료한다. 이외 내진율이 31.3%(총 3520동 중 1100동)에 불과한 학교시설은 교육청과 지속적으로 협조해 2020년까지 내진율 48.4%를 확보할 계획이다.
민간건축물은 내진설계 도입 이전(1988년 이전) 건축된 건물이 많은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내진율이 약 18.2%(내진의무대상 건축물 수 기준)로 낮으나, 중앙부처와 협의해 내진보강 공사비 보조금 지원 및 건축물대장에 필로티 구조 건축물 등록 의무와 등을 추진할 것"이라며 "내진의 필요성을 홍보하는 등 여러 가지 방안을 병행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는 민간건축물의 내진성능 점검지원을 위해 기존 건축물 내진성능 자가점검시스템(http://goodhousing.eseoul.go.kr/SeoulEqk/)을 보완하여 내진보강 세부방안까지 제시할 계획이다.
또한 '제2차 찾아가는 안전점검 서비스'를 6월~12월 동안 실시할 예정이다. 시는 이달부터 서비스 신청을 접수한다. 서울시 누리집 배너와 120다산콜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지진 피해자 지원 방안도 나왔다. 시는 '트라우마 아카데미'를 구축해 국가 트라우마센터와 연계한 심리지원 활동을 추진하고, 실내구호용 칸막이 텐트, 재해구호물품 추가 확보 등 임시주거시설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피해자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