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미리 준비했다가 9일 기소 직후 공개한 성명서./이명박 전 대통령 페이스북 캡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자신의 구속과 기소 등 고비마다 '성명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110억원대 뇌물수수와 350억원대 횡령 등 16개 혐의로 9일 오후 구속기소됐다.
그는 검찰이 자신에 대한 공소사실을 언론에 발표한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 검찰의 기소와 수사결과 발표는 본인들이 그려낸 가공의 시나리오를 만들어놓고, 그에 따라 초법적인 신상털기와 짜맞추기 수사를 한 결과"라며 반발했다.
그는 검찰의 기소를 "감정적인 화풀이이고 정치보복"이라고 규정하고 "정권의 하수인이 되어 헌정사상 유례없는 짜맞추기 표적수사를 진행해온 검찰 수사의 정당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가 구속된 이후 검찰 조사에 응하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의 구속기간 세 차례에 걸쳐 조사를 설득했으나 거절당했다.
이날 성명서는 이 전 대통령이 구속되기 전에 미리 작성하고, 기소 시점에 맞춰 발표되도록 준비됐다.
검찰의 구속수사를 예상한 이 전 대통령이 처음부터 자신의 '옥중조사 완전 거부' 방침을 정해놓았음을 밝힌 셈이다.
이 전 대통령의 '메시지 대응'은 지난달 22일 자신의 구속영장이 발부 직후, 전날 미리 준비한 편지를 페이스북에 공개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이 전 대통령은 "나는 그래도 대한민국을 위해 기도할 것"이라고 말한 뒤, 같은 달 26일 천안함 8주기 추모 글을 통해 "매년 여러분을 찾겠다는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되어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일 1심에서 징역 24년형을 선고받은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해 3월 구속 이후 5차례에 걸친 검찰의 방문 조사를 모두 받고 기소됐다. 박 전 대통령은 법원의 구속영장 발부와 검찰의 기소 당시 페이스북을 통해 성명서를 내지 않았다. 다만 자신의 구속 연장이 결정된 지난해 10월 법정에서 "재판부에 대한 믿음이 없다"며 변호인단 사임을 알린 뒤 법정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