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경. /LG CNS
LG CNS가 정보기술(IT) 서비스기업 중 최초로 공공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LG CNS는 이번에 보안인증을 받은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인 'LG 지클라우드(LG G-Cloud)'를 LG유플러스와의 협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공공기관에 서비스하며 공공기관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클라우드 보안 인증은 민간 기업이 국내 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갖춰야 하는 필수 요건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시행하는 정보보호 정책, 데이터 보호 및 암호화 등 14개 분야의 117개 항목에 대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심사평가를 통과해야 인증 받을 수 있다.
현재 공공 클라우드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15년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사용률을 2018년까지 4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등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8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조사'에 따르면 2017년 민간클라우드를 활용하는 공공기관 수가 전년 대비 5배 (2016년 23개→2017년 114개) 이상 늘어났다.
LG CNS는 클라우드 컨설팅부터 설계, 구축 및 서비스, 운영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해 8월 국내 IT서비스 사업자 중 처음으로 '클라우드 인티그레이터(통합사업자)'를 선언한 바 있으며, 이에 앞서 지난해 7월 국내 기업 최초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클라우드 사업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지난 9월 과기정통부 지원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국내 중소기업들이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타(PaaS-TA)' 도입 및 연구개발 협력에 대한 MOU를 체결해 국내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LG CNS 관계자는 "LG 지클라우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솔루션과 컨설팅 역량을 집대성한 클라우드 서비스"라며 "LG CNS의 클라우드 역량과 30여 년간 다양한 공공사업에서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을 접목해 공공 클라우드 사업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