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권, 가계·개인사업자대출 상시감사…조기경보시스템 가동
신협중앙회가 '사회적 금융'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오는 2022년까지 관련 기금 5000억원을 마련한다. 상호금융권은 조기경보시스템을 가동해 가계·개인사업자대출을 상시 감시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27일 '2018년 제1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고 상호금융권 경영현황, 신협의 사회적금융 역할 강화방안 등 주요현안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 회의엔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산림청, 금융감독원, 각 상호금융 중앙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2017년 말 상호금융조합 수는 총 3571개로 부실조합에 대한 구조조정 등으로 전년(3582개) 대비 11개 감소했다. 조합원 수도 3621만명으로 전년(3640만명) 대비 19만명(0.5%) 줄어들었다.
그러나 총자산과 수익은 늘고 건전성도 개선됐다. 상호금융권의 총자산은 전년보다 48조6000억원(8.5%) 증가한 623조원으로 나타났다. 1조원 이상 대형 조합도 62개에서 68개로 증가했다. 당기순이익도 전년보다 5597억원(26.0%) 불어 2조7144억원을 기록했다. 연체율은 2016년 말 1.21%에서 2017년 말 1.16%로 떨어졌고,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같은 기간 1.41%에서 1.39%로 개선됐다.
금융위 김기한 중소서민정책관은 "수익성·건전성 지표가 전년도에 이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경영실적이 시현됐다"면서도 "다만 금리 상승이 본격화될 경우 가계·개인사업자대출 중심 연체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금리 상승에 따른 리스크 관리 및 취약·연체차주 보호를 위해 각종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오는 4월엔 개인사업자대출 점검을 강화하고 연체금리를 '약정금리+최대 3%포인트 수준'으로 인하한다. 7월엔 가계대출 DSR(총체적상환능력비율)을 시범 운영한다.
'상호금융 조기경보시스템(EWS)'도 가동한다.
조합의 부실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중점관리조합 선정 기조는 유지하되, 가계 및 개인사업자 대출 급증 등 최근 이슈화된 리스크 요인은 상시감시·검사를 실시한다. 금감원 통합상시감시시스템(ADAMS) 및 중앙회 상시감시스템의 중층적 상시감시체계를 통해 동일인 대출한도 초과 등 위규혐의에 대해 상시 모니터링한다.
신협의 '사회적 금융' 역할도 강화한다.
올 상반기 신협중앙회 출연, 예보료 인하분 출연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 지원기금을 조성한다. 이는 2022년까지 500억원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5월엔 사회적 가치 등을 반영한 별도의 '여신심사가이드라인'을 마련·운영한다. 7월엔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직접 투자, 이차보전, 출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에 자금을 지원·운영한다.
신협 평균 예금금리보다 0.5%포인트 금리가 낮은 '신협 착한 예금' 상품도 출시한다. 이를 통해 조성한 자금을 사회적 금융에 활용된다. 이 밖에 신협중앙회 권역별 지역본부 10개에 사회적금 융 전담 지원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