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스포츠종합

평창 패럴림픽, 성화 점화는 누가?…韓 선수 낙점 가능성



평창 패럴림픽, 성화 점화는 누가?…韓 선수 낙점 가능성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 개막을 앞둔 가운데, 개회식의 하이라이트인 성화 점화 방식 및 점화자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개폐회식 연출을 맡은 이문태 총감독이 개회식 관련 내용을 공개하진 않았으나, 최종 성화 점화자 후보로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국가대표 선수들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지난달 9일 열린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피겨여왕' 김연아가 달항아리 모양의 성화대 바로 아래 미니 링크에서 스케이팅 후 불을 붙이는 극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그러나 한국이 1992년 알베르빌 대회 때 처음 동계패럴림픽에 참가하는 등 출전 역사가 길지 않은 만큼 역대 메달리스트를 포함해 상징적으로 내세울 후보가 많지 않다는 것이 대회 조직위의 고민거리다.

지금까지 한국이 동계패럴림픽에서 메달을 딴 것은 단 두 번뿐이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에서 알파인스키 한상민이 은메달을 땄고, 2010년 밴쿠버 대회에서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은메달을 수확했다. 한상민은 태극마크를 달고 이번 평창 대회에도 참가한다.

평창패럴림픽에 출전한 국가대표 상당수가 개회식 성화 봉송 주자와 점화자로 차출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점에서 한국 장애인 알파인스키의 '전설'인 한상민은 최종 점화자 유력 후보 중 한 명이다.

한상민은 2002년 솔트레이크 대회 때 한국 패럴림픽 사상 첫 메달을 수확했고, 2006년 토리노 대회와 2010년 밴쿠버 대회에 참가했다. 2014년 소치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았지만 이번 평창 대회를 포함한 4회 출전은 한국 선수 중 최다 기록이다.



한국 선수단 전체 주장이자 장애인 아이스하키 대표팀의 '캡틴'인 한민수와 간판 공격수 정승환도 점화자 후보다. 아이스하키가 한국의 메달 후보라는 점에서 두 사람이 성화 봉송 또는 점화에 어떤 형식으로든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함께 소치 패럴림픽 당시 한국 선수를 대표해 성화 봉송 주자로 참여했던 여자 컨트리스키 대표 서보라미도 후보로 거론된다.

그러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패럴림픽 정신을 고려할 때 시각장애 선수와 선수의 '인간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는 가이드러너가 나란히 성화 점화자로 나설 수도 있다.

한국 선수 중 장애인 알파인스키의 양재림-고운소리, 황민규-유재형, 크로스컨트리스키 최보규-김현우가 선수와 가이드러너로 호흡을 맞춰 이번 대회에 참가한다.

이문태 감독은 앞선 언론 인터뷰에서 "개회식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이 없는 무장애의 세상을 보여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패럴림픽 개회식에서도 지난달 9일 비장애인 동계올림픽 개회식 때 이용한 가파른 슬로프 형태의 성화대 구조물이 그대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조직위가 성화 주자가 슬로프를 걸어 올라가는 방식 대신 크레인 등을 동원할 경우 하반신이 불편한 장애 선수도 점화자로 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직위 관계자는 "개회식 전날 눈 예보가 있어 당일 기후 상황에 맞게 개회식 진행 프로그램에 일부 변화를 줄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 "(성화 점화자는) 장애인 선수 한 명, 한 명이 스토리이고 감동인 만큼 진정성에 호소하는 컨셉트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