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시 청년수당 참여자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98.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복경 서강대 교수는 6일 오전 10시 시민청에서 열린 '2017 청년수당 참여자 분석연구 발표회'에서 '청년수당 참여자 분석연구'를 발표하고 사업에 '매우 만족'한다는 답변이 68.7%였다고 밝혔다. 2016년도에는 매우 만족이 18.9% 였다.
청년수당 사업은 기존정책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사회안전망이다. 청년실업률 상승으로 인한 자존감 하락과 사회와의 단절된 청년들의 진로모색, 역량강화 등 구직활동을 지원한다.
서 교수에 따르면, 청년활동지원금이 목표 달성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냐는 질문에는 99.2%가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고, 매우 도움이 된다는 답변 역시 82.7%로 높았다.
취업이나 창업등 목적을 성취할 가능성에 대한 대답은 2017년 9월 56.2%에서 지난 1월 67.5%로 높아졌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사업 참여자 500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설문조사와 FGI(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사업평가와 인식변화를 측정했다.
김문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활동지원사업 성과측정 및 효과분석' 연구로 일상생활지원, 마음건강, 관계형성, 직무역량 등 청년활동지원사업의 목표에 맞는 성과 개념과 효과성을 평가했다.
김 연구위원은 활력프로그램 같은 서비스와 활동지원금 등 현금 제공이 일종의 지렛대(leverage)역할을 한다고 분석했다. 활동지원금이 '청년 니트'의 구직과 창업준비에 필요한 경비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고, 활력프로그램 서비스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김 연구위원은 활력프로그램이 직접적으로 취·창업 준비를 지원하기보다는 유연한 개입으로 '선택' 혹은 '긍적적 변화'를 유도하는 넛지(nudge) 효과의 성격이 있다고 규정했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 서울시의 청년수당이 사회적 안전망으로 저활력 청년들에게 안정감과 구직활력 증가, 공공에 대한 신뢰 증대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며 "지속적인 성과연구를 통해서 청년수당을 포함한 청년활력지원사업이 개인의 활력 증대를 넘어서 사회의 활력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하고 알려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