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앱 '신한 쏠'로 디지털역량 결집…M&A, JV 등으로 글로벌 전략 다양화
지난해 은행들의 장밋빛 실적은 대출 성장이 견인차 역할을 했다. 가계대출에 제동이 걸린 2018년엔 '디지털·글로벌' 전략이 리딩뱅크를 가르는 척도가 될 전망이다. 이에 주요 은행장들은 비대면 영업 채널을 강화하고,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는 등 올해 새로운 경영 전략을 구체화하며 본격적인 경쟁에 나섰다. 메트로신문이 주요 은행들의 신(新)경영전략을 들여다 봤다.
<편집자주>
신한은행은 2018년 리딩뱅크를 향한 키를 '디지털 금융'으로 잡았다. 연초부터 통합플랫폼 슈퍼 앱을 출시하며 은행의 메인 영업 채널을 디지털로 옮겼다. 우량대출을 늘리고 글로벌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하는 등 수익성 방어에도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 통합플랫폼 '신한 쏠(SOL)' 실행 화면.
◆2018년 첫 시작은 슈퍼 앱 '쏠'
"신한 쏠(SOL)의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로 올해를 '디지털 영업의 원년'으로 삼겠다."
위성호 신한은행장은 지난달 22일 모바일 통합플랫폼 '신한 쏠(SOL)'을 내놓으며 이같이 밝혔다. 위 행장은 신년사에서부터 4차 산업혁명의 파고 속에서 변화와 속도를 주도하려면(비 더 넥스트) '디지털'에 역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지난 2월 '신한 쏠'을 공개하며 디지털 경쟁에 신호탄을 터뜨렸다.
신한 쏠은 위 행장이 취임 후 1년여간 공을 들인 작품으로, 복잡한 은행의 앱을 간소화하고 기능은 간편화·다양화해 이목을 끌었다. 쏠은 기존 6개 앱(S뱅크, 써니뱅크, 스마트실명확인, 온라인등기, S통장지갑, 써니계산기)을 한 데 모았다. 또 지문, 패턴 등 다양한 로그인 방식을 지원하고 키보드 이체, 연락처 이체 등 간편 기능을 도입했다.
뱅킹 및 상담서비스가 모두 제공되는 AI(인공지능) 기반 챗봇 '쏠 메이트', AR·VR 기술을 활용한 신개념 안내장 및 '웰스 라운지' 등 혁신 뱅킹 서비스도 접목했다. 가입만으로 모바일 뱅킹 수수료를 면제하는 '쏠편한 입출금통장', 선물하는 금융상품 '쏠편한 선물하는 적금' 등 상품도 다양화했다.
그 결과 기존 S뱅크 대비 신한 쏠의 로그인 비중은 71%로 높은 전환율을 보였으며, 쏠의 예·적금 상품엔 약 9만건이 새로 가입됐다. 신한은행 측은 "대부분의 고객이 새로운 기능과 간결해진 UX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고객상담센터의 콜(Call) 수도 평상시와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앞으로도 이용고객 수로, 외부 플랫폼과의 제휴, KBO 스폰서십, 스타 마케팅 등을 활용해 쏠의 강력한 고객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구축된 기반 고객은 계좌 보유 고객으로 발전하고, 쏠 내 생태계 안에서 자생적으로 거래가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글로벌도 신한!…'따뜻한 금융'도 지속
글로벌 영업도 속도를 낸다. 위 행장은 올 초 신년사에서 2018년 신한은행의 전략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구상으로 "유망시장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글로벌 신한의 위상을 더 굳건히 다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신한은행은 올해 글로벌 사업의 도약적 성장을 위해 몸집 부풀리기보다는 기존에 진출한 네트워크의 균형 성장에 집중 나선다. 일부 핵심시장에 의존하지 않는 시장 간 포트폴리오 성장을 실현하고, 현지 시장에 특화된 Biz모델을 발굴해 시장 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해 수익 개선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전체 손익의 글로벌 부문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겠는 목표다.
신한은행 측은 "이러한 오가닉(organic) 성장과 더불어 성장잠재력이 높은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인오가닉(Inorganic) 성장을 계획하고 있다"며 "인수합병(M&A), 합작회사(JV), 지분투자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신규 진출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은행의 미션인 '따뜻한 금융'도 이어나간다.
기업대출 부문은 핵심 시장인 중소법인 대출 부문에서 리스크와 수익성의 균형을 갖춘 우량자산 증대를 추진한다. 아울러 신시장 및 미래성장산업에 대한 공략을 통해 지속 성장 가능한 수익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관계형금융 고도화, 일자리 창출기업 및 신성장 산업에 대한 지원 강화를 통해 생산적 금융 정책에도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편집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