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공연/전시

120년 전 서울,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입체사진으로 본다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이 '1904 입체사진으로 본 서울풍경전(展)'을 23일부터 4월 8일까지 1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한 입체사진은 미국, 호주, 일본 등지에서 제작되었다. 이들은 주로 1904년을 전후로 촬영·제작된 것이다. 이 무렵 서울은 멀리서 보면 한양도성이, 그 안과 밖은 초가와 기와지붕이 가득한 전통적인 경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안에는 대한제국 선포 이후 고종이 추진한 각종의 개혁과 근대화 정책의 산물도 담겨있다. 전차가 고색창연한 성문을 통과하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박물관은 이번 전시에서 촬영지점이 확인되는 사진들은 1902년의 지도 위에 놓아 위치를 살펴볼 수 있게 했다. 또한 해당 사진들에 입체경의 원리를 적용한 렌즈케이스를 씌워 당시 사람들이 입체사진을 관람하였던 방식 그대로 관람할 수 있도록 전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준비된 입체사진은 6.5~7㎝의 간격을 두고 촬영한 두 장의 사진을 나란히 놓고 입체경을 통해 두 눈이 각각의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했다.

박물관 관계자는 "1851년 런던 만국박람회에서 소개된 입체경은 대중들을 매료시켰고 1860~90년대의 서구사회는 입체사진의 열풍에 휩싸였다"며 "기술 발달과 맞물려 입체경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상업적 대성공은 대형입체사진 제작사를 설립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스탠드형 입체경./서울역사박물관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한 입체사진은 러일전쟁을 전후해 만들어졌다.

박물관은 또한 입체사진 뒷면에 설명이 있는 사진들을 위주로 선정된 사진을 확대 전시한다. 사진 속 서울의 풍경과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고, 사진 뒷면에 기재된 이방인들의 설명도 볼 수 있게 전시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박물관은 1904년 무렵 서울을 대형 3D로 볼 수 있도록, 입체사진을 애너글리프(Anagliph) 방식으로 변환해 적청안경을 쓰고 즐길 수 있게 준비했다. 애너글리프는 두 눈의 시차를 이용해 왼쪽 눈에 적색, 오른쪽 눈에 청색 장면을 만들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박물관은 1912년에 촬영된 서울 동영상도 대형화면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송인호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적청안경을 쓰고 입체사진과 1912년 서울 영상의 장면으로 들어가 생생한 과거의 풍경을 만나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시민 누구나 무료 관람 할 수 있다. 관람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 토·일·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3월부터는 7시)까지다.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은 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