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세뱃돈, 어느 은행에 맡길까?

은행 1년물 적금 금리(일부 상품)./은행연합회 공시



연초 세뱃돈, 입학 축하금 등으로 저축할 일이 많이 생겨 은행 적금을 알아보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예·적금 금리는 여전히 1%대 저금리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조금이라도 더 금리 혜택을 받으려면 은행별·상품별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17일 전국은행연합회에 공시한 18개 은행의 35개 1년물 적금의 평균 금리는 1.67%다.

이 중 전북은행의 'JB다이렉트적금(자유적립식)이 연 금리 2.15%를 제공해 가장 높다. 광주은행의 '쏠쏠한마이쿨적금'은 2.10%, 경남은행의 'e-Money 자유적금'과 한국카카오은행의 '카카오뱅크 자유적금'은 2.0%다.

KB국민은행의 'KB펫코노미적금'과 'KB 1코노미 스마트적금', SC제일은행의 '퍼스트가계적금', 우리은행 '올포미 정기적금'은 1.90%다.

연 금리 1%대 후반의 상품은 KDB산업은행의 'KDB Hi 자유적금'(1.89%), 전북은행의 '정기적금(정액적립식)'(1.85%), 부산은행 '2030부산등록엑스포적금(정기적립식)'(1.80%), 광주은행 '스마트모아Dream정기적금'(1.80%), 우리은행 '우리웰리치100여행적금'(1.80%), 부산은행 'bnk어울림정기적금'(1.75%), 하나은행 'T 핀크적금'(1.70%)과 '하나된 평창 적금'(1.70%), 수협은행 '파트너가계적금'(1.70%), 케이뱅크은행 '코드K 자유적금'(1.70%)으로 공시됐다.

이어 대구은행 'e-U(이유)적금'(1.61%), 부산은행 'e-푸른바다자유적금'(1.60%), 기업은행 'IBK평생한가족통장(정액적립식)'(1.60%), 국민은행 '직장인우대적금'(1.60%), 수협은행 '더플러스정액적금'(1.60%)과 'Sh내가만든적금'(1.60%), 대구은행 'DGB행복파트너적금'(1.56%), 농협은행 '정기적금'(1.55%), IBK기업은행 'IBK평생한가족통장(자유적립식)'(1.50%), SC제일은행 '퍼스트기업적금'(1.50%), 제주은행 '제주Tops허니문통장'(1.50%), 케이뱅크은행 '플러스K 자유적금'(1.50%), 씨티은행 '원더풀라이프적금'(1.50%), 산업은행 '주거래플러스 적금'(1.40%)이 연 금리 1%대 중반이다.

연 금리 1%대 초반의 상품은 신한은행의 '신한 미션플러스 적금'(1.35%), 산업은행 '일반 정기적금'(1.25%), 하나은행 '하나머니세상 적금'(1.20%), 우리은행 '위비SUPER주거래정기적금2'(1.10%)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