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일반주택지역의 침입절도 건수가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노원구는 일반주택지역 범죄율을 아파트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추진한 '범죄제로화 사업'이 침입절도 범죄율을 연평균 55%감소시켰다고 12일 발표했다.
앞서 구는 2014년부터 지역별 맞춤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셉테드)를 활용해 일반주택 범죄제로화 사업을 펴왔다.
2016년 말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결과, 사업시행 전·후 일반주택지역 전체 6대 범죄 발생률이 21%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범죄율이 떨어지지 않은 동이 있어, 구는 지난해 9억7000만원을 들여 취약한 동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투자했다.
노원구는 노원경찰서의 2016·2017년 범죄 현황 자료를 인용해 살인, 강도 등 주요 5대 범죄는 4476건에서 4099건으로 8.4%, 절도범죄는 1507건에서 1441건으로 4.4%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집중관리지역이었던 월계1동을 비롯한 7개 동의 경우 절도 범죄가 757건에서 650건으로 약 14% 감소했다.
2014년∼2016년 일반주택지역 침입절도 건수는 연평균 18건이었으나, 지난해 10건으로 줄어들어 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업시행전(2011~2013년) 침입절도범죄 연평균 60건에 비교하면 약 83% 감소한 수치다.
구는 지난해 범죄율 하락이 저조한 지역에 방범용 CCTV 97대를 비롯한 다양한 방법 시설을 확충했다. 야간 골목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LED보안등, 소형 전등, 고보조명 등 조명시설 135대를 중점적으로 설치하였다. 자연 감시망 강화를 위한 미러시트와 반사띠(183개소), 반사경(30개소), 주민 참여형 담장 도색(82개소), 주민 실천사항과 현 위치 안내를 위한 사업구역 안내판 교체(147개소), 방범덮개(17개소) 설치 등 방범인프라를 구축했다.
또한 자율방범대 등 민·관·경 합동으로 여름휴가철 문단속 캠페인과 환경 정비 활동도 이어갔다. 구와 노원경찰서 범죄예방전문경찰(CPO)이 일반주택지역 동별 '찾아가는 범죄예방교육'을 7회에 걸쳐 실시했다.
구는 올해 범죄 취약지역에 대한 맞춤형 방범 시설 확충과 주민 참여형 마을안전프로그램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6억여원을 들여 일반주택지역 8개동 23개 구역을 대상으로 범죄통계 분석결과과 민·관·경 현장 조사 결과 등을 적용할 방침이다.
김성환 노원구청장은 "범죄는 한번 발생하고 나면 신체적, 재산적 피해는 물론이고, 정신적 피해 역시 크고 오래가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며 "지속적인 사업 성과 분석과 주민 의견 수렴, 민·관·경 치안 협력 강화 등을 통해 주민 누구나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동네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