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스포츠종합

공동입장 앞둔 남북, 평창에선 지금?



얼어붙은 남북관계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를 통해 서서히 완화되는 모양새다. 평창올림픽이 곧 '평화올림픽'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이유다.

남북은 지난달 20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남북한 올림픽 참가회의에서 올림픽 사상 최초로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결성을 합의했다.

북한은 평창올림픽 참가가 결정된 후 응원단과 예술단은 물론,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이끄는 고위급 대표단까지 파견하며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남북 단일팀을 확정한 여자 아이스하키 팀은 우리나라 선수 23명과 북한 선수 12명을 합친 35명으로 꾸려졌다. 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같은 해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에 이은 역대 3번째이자 올림픽 첫 남북단일팀이다.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여, 남북 단일팀 구성 등이 이뤄지기까지의 과정이 순탄하지 만은 않았다. 그러나 올림픽 개막을 앞둔 현재, 남북은 그 어느 때보다 화기애애한 모습이다.



◆10년만의 공동입장, 한반도기로 '화합'

남북은 평창에서 공동 입장을 한다. 국제대회 개회식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입장하는 것은 2000년 시드니 하계올림픽 이래 역대 10번째이자, 2007년 창춘 동계아시안게임 이래 11년 만이다.

이번 공동기수 순서는 남남북녀(南男北女) 차례다. 한국은 기수에 적극적인 의욕을 보인 남자 봅슬레이 간판 원윤종(강원도청)을 최종 낙점했다. 원윤종과 함께 한반도기를 들 북한 선수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 중 한 명이 공동기수로 추천될 거란 전망이 우세하다.



◆긴장→친근…달라진 남북 표정

6일 오전, 방남 5일 만에 첫 공식 일정에 나선 북한 크로스컨트리 대표팀 선수들은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센터를 찾아 약 40분간 경기장 답사를 진행했다.

이날 현장을 찾은 북한 대표팀은 취재진의 질문에 다소 불편한 기색을 보이기도 했으나, 취재진의 '안녕하세요'라는 인사에 손을 흔들어 보이는 등 친근감을 내보이기도 했다.

단일팀 확정 직후와는 확연히 달라진 분위기다.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속속 변화가 감지됐다.

지난 5일 평창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동반 훈련을 치른 피겨 페어 스케이팅의 '남북 대표' 김규은-감강찬(한국) 조와 렴대옥-김주식(북한) 조는 웃지 못할 해프닝을 겪었다.

김규은이 지난 2일 생일을 맞은 렴대옥을 위해 준비한 선물을 깜빡 잊고 가져오지 않은 것. 김규은과 감강찬은 평창올림픽의 마스코트인 수호랑과 반다비를 렴대옥, 김주식에게 줄 계획이다.

네 선수는 연습에서도 화기애애한 모습을 보였다. 부딪힐뻔한 상황은 유연하게 넘어갔고, 연습 도중 김주식이 감강찬에게 말을 건네고 웃음을 화답하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두 사람은 함께 사진을 찍어 공개하기도 했다.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지난 5일 훈련에서 북한 선수들은 머리 감독의 지시를 따라 한국 선수들과 함께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다.

링크 옆에서는 이날 훈련에 나서지 않은 한국 선수 2명과 북한 선수 1명이 다정하게 어깨동무를 하고 사진을 찍는 모습도 포착됐다.

머리 감독은 "북한 선수 지도하는 것을 즐기고 있다. 이것은 정말 특별한 일"이라면서 "코치진은 라커룸에서 남북 선수를 나눠서 보지 않고 하나로 본다"고 전하기도 했다.

한편 평창올림픽은 오는 9일부터 강원도 일대에서 열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