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스포츠종합

'늦깎이 데뷔'부터 '인간 승리'까지…평창올림픽의 이색 사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이 5일 앞으로 다가왔다. 역대 최대·최다 규모로 개최가 확정된 만큼, 대회에 대한 관심도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대회와 관련한 각종 이슈도 쏟아진다. 선수들의 출전 비하인드 스토리부터 최고령·최연소 선수들은 누구인지 등 소소한 이야기들이 모여 평창올림픽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리는 데 한몫하고 있다.

◆최고령·최연소 선수는?

올림픽 때마다 나오는 단골 질문 중 하나는 최고령·최연소 선수에 대한 것이다. 평창올림픽 남녀 최고령은 공교롭게도 모두 컬링 선수다.

남자 최고령 선수는 핀란드 컬링 대표팀의 토미 란타마키다. 1968년 생으로 올해 만 50세인 그는 한때 핀란드 컬링 대표팀 감독을 맡기도 했다. 지긋한 나이 만큼이나 베테랑 중의 베테랑이지만, 올림픽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활약이 기대된다.

남녀를 통틀어 전체 출전 선수 중 최고령은 캐나다 컬링 대표팀의 셰릴 버나드다. 1966년 생인 그는 2010년 밴쿠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거머쥔 뒤 2014년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방송국에서 컬링 중계 분석가로 활약했던 그는 2016년 선수로 복귀했다.

최연소 선수는 모두 2002년 생이다. 올림픽 개막 전년도 7월 1일을 기준으로 만 15세 이상이 돼야 한다는 나이 제한 규정 때문이다.

종목별로 나이 제한 규정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이번 평창에서 가장 어린 선수는 2002년 10월 2일 생인 중국 스키 하프파이프의 위멍이다.

또 같은 해 태어난 스웨덴의 스키 슬로프스타일 선수 제니 리 버만손, 중국의 스키 하이파이프 선수 장커신, 일본의 스노보드 선수 구니타케 히로아키도 있다.

가장 주목 받는 선수 중 하나인 러시아 여자 피겨 싱글의 '샛별' 알리나 자기토바도 최연소 선수 대열에 이름을 올렸다.

자기토바는 현 여자 피겨 싱글 세계 최강자인 예브게니아 메드베데바(러시아)를 무섭게 추격하고 있다. 지난 21일 열린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유럽피겨선수권에서 메드베데바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평창에서 금메달을 노리는 유력한 '10대 스타'로도 꼽힌다.

한국 피겨 싱글 선수 김하늘도 자기토바 등과 최연소 선수로 어깨를 나란히 한다.







◆역경 딛고 평창 무대 밟는다

최고령·최연소 선수에 대한 궁금증 만큼이나 높은 관심을 모으는 것은 선수 개개인의 숨겨진 이야기다. 이번 평창에서도 다양한 사연을 가진 선수들이 메달을 노린다.

피겨 남자 싱글에 출전하는 애덤 리펀(29·미국)은 평창에서 '늦깎이 데뷔전'을 치른다. 자신의 성 정체성을 커밍아웃하고 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첫 미국 선수이기도 하다.

수차례 올림픽 진출이 좌절되면서 생활고까지 겪었던 리펀은 은퇴까지 고민했던 '만년 유망주'였다. 그러나 결국 마지막 도전이었던 평창행 티켓을 따내는 데 성공했다.

부상과 악재를 딛고 올림픽 티켓을 거머쥔 이들도 있다. 캐나다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인 데니 모리슨은 2015년 오토바이 교통사고, 2016년 뇌졸중을 겪었으나 아픔을 딛고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노르딕복합에 출전하는 브라이언 플레처는 백혈병을 이겨냈고, 프리스타일스키 토린 예이터 월리스(이상 미국)도 파란만장한 선수 생활을 겪었다.

월리스는 부친의 징역 확정으로 생활고를 겪었던 것도 모자라 2014년에는 일종의 침술 요법을 받다가 시술자의 실수로 폐에 구멍이 났다. 그 사이 어머니는 대장암에 걸렸고, 간신히 출전한 소치 올림픽에선 본선 첫 경기에서 넘어져 갈비뼈 2개가 부러지고 폐허탈 증상까지 재발했다. 이후에도 부상은 끊이지 않았다.



이처럼 역경을 극복한 선수들의 일대기 만큼이나 감동 스토리를 가진 이들도 다수다. 이 가운데 독특한 별명을 가진 선수도 있다. 미국 쇼트트랙 대표팀의 토머스 홍(한국명 홍인석)이다.

토머스 홍의 어머니는 1997년 7월 2일 만삭의 몸으로 서울 목동아이스링크를 찾았다가 양수가 터져 인근 병원에서 토머스 홍을 낳았다.

이렇듯 태어날 때부터 스케이트와 특별한 인연을 맺은 토머스 홍은 5세 때 미국으로 이민 간 뒤 본격적으로 쇼트트랙에 입문했으며, 일찌감치 두각을 드러냈다. 그는 평창에서 남자 500m와 5000m 계주 등 2개 종목에 나선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