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천 가산동에서 진행된 주민 모임 워크숍./서울시
서울시가 '서울시 고독사 예방대책' 토론회를 31일 오전 10시 서소문청사에서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1인 가구 증가, 급속한 도시화 등으로 기존의 가족·마을 중심의 사회적 관계망 단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혼자 사는 중·장년층,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이 많아져 고시원, 원룸, 쪽방, 다세대주택 등 주거취약지역에서 고립된 채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가 이어지는 실정이다.
연고자 없이 세상을 떠나는 무연사 현상 역시 전국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서울시 무연사는 2013년 285건에서 2014년 299건, 2015년 338건, 2016년 308건이다.
전국 단위로 보면 2013년 1275건에서 2014년 1384건, 2015년 1669건에서 2016년 1833건으로 부쩍 늘었다.
이에 서울시는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을 수립해 복지 사각지대 에서 고독사 위험군의 시민을 보호할 계획이다. 이번 토론회는 사회적 관계 단절로 인한 고독사 발생을 막기 위해 2017년도에 시행한 사회적 고립가구 시범사업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서울시 대책 마련을 위한 시민, 전문가, 자치구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됐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3개 동(관악구 대학동, 금천구 가산동, 노원구 하계1동)을 선정하여 고독사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고립가구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주요 내용은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사업과 연계하여 주민참여를 통해 지역특성에 맞는 고립된 주민을 발견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 등 해결 방안을 실행하는 것이다.
고독사는 시범 사업으로 조기발견되고 있다. 서울시는 찾동으로 집중 관리하던 시민의 고독사를 조기에 발견하고, 주민이 나눠준 응급연락망으로 응급 시 도움 받은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서울시는 지난해 9월부터 이달까지 민간전문가(서울시복지재단, 교수, 시민단체, 언론인 등)와 유관부서, 유관기관, 자치구 등이 참여한 고독사 예방대책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그 결과를 정리해 종합대책안을 마련하고 있다.
31일 열리는 토론회는 서울시 고독사 조례를 발의한 성백진 서울시의회 의원의 모두발언으로 시작된다. 이어 송인주 서울복지재단 연구위원이 사회적 고립가구 시범사업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토론회에는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명숙 KBS PD, 황순찬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장, 최영록 금천구 복지정책과 주무관이 참여한다.
서울시는 이번 토론회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고독사 종합대책안을 마련하고, 최종 확정 대책을 3월께 발표할 계획이다.
김인철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전문가는 물론 공무원, 일반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의견을 주시는 내용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토를 거쳐 종합계획에 적극 반영하겠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