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자치구와 함께 1월~10월 재난 취약 가구의 생활 안전 설비를 개선한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재난 사고 등 각종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스스로 안전조치를 하지 못하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2007년부터 매년 '재난취약가구 안전점검 및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사업 대상자는 홀몸 어르신, 소년소녀 가장, 쪽방촌 거주자, 장애인,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등이다. 시와 자치구는 이들 재난취약가구의 전기·가스·보일러 등 생활안전설비 정비 개선에 나선다.
시는 올해 11억800만원(시비 5억9500만원, 구비 5억1300만원)을 투입해 2만5000여 가구의 노후·불량 설비를 점검하고 교체할 예정이다.
정비 분야는 전기설비(누전차단기, 콘센트, 등기구 등), 가스설비(가스타이머, 가스밸브 등), 보일러설비(보일러 연통과 보일러 설비) 등으로 안전점검 실시 후 노후·불량 설비는 정비하거나 교체한다.
또한 전기·가스·보일러 설비의 안전한 사용법과 화재예방·가스누출 방지를 위한 점검 방법, 화재·풍수해 등 재난시 대처요령 등을 교육한다. 긴급 신고 전화번호와 전기·가스 안전 매뉴얼도 배부할 예정이다.
안전점검과 정비를 희망하는 주민은 동 주민센터에 신청하면 된다. 구청 선정심의회가 적격여부 판단을 통해 대상가구를 선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동 주민센터와 서울시청 시설안전과(02-2133-8224)로 문의하면 안내 받을 수 있다.
지원 대상 가구에 대한 정비활동은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 소속 전문가와 공무원,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안전복지컨설팅단'이 진행한다.
고인석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우리 주변 곳곳엔 사고위험에 노출된 재난취약계층이 많다"며 "이 분들은 지속적인 관심과 안전에 대한 경각심, 교육,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약자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우리 주변의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