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주거환경관리사업에 실제로 참여한 주민을 '마을 강사'로 육성해 다른 마을을 돕는 체계를 만든다고 25일 밝혔다.
주거환경관리사업은 서울시가 2011년부터 시작한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등 밀집지역 대상 주민주도형 저층주거지 재생사업이다. 휴먼타운이라는 이름으로 7개 마을에서 시작했다. 2012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개정되면서 현재 명칭으로 변경됐다. 현재 서울시내 77개 마을에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사업의 주축은 주민이다. 도시계획 수립 과정부터 이후 마을 유지·개선까지 주민들로 구성된 주민공동체운영회가 중심이 된다. 이들은 주민총회 등을 통해 주민의견을 수렴, 마을 특색에 맞는 프로그램도 개발·운영하면서 공동체를 활성화시킨다.
시는 주민공동체운영회의 역량을 강화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공동체분야 등의 경험있는 전문가인 '지역재생활동가'를 파견하고 있다. 또 주민공동체운영회의 거점 공간으로 공동이용시설도 조성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거환경관리사업이 주민 주도의 사업인 만큼 선행마을의 활동과 경험, 노하우를 직접 전파한다면 주민들의 피부에 와닿고 공감할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이 된다"며 "선행마을이 겪은 시행착오도 줄일 수 있어 마을강사를 육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지난해 주거환경관리사업 77개 마을에서 활동 중인 주민, 마을활동가를 대상으로 마을강사예비자를 모집한 결과, 20개 마을에서 34명이 신청했다.
서울시는 사업에 대한 실무적 지식은 있으나, 청중을 대상으로 강의를 해본 경험이 없는 예비 마을강사들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다음달까지 강사 기술을 교육한다. 강의는 발표스킬, PPT 제작, 강의원고 작성, 표정·제스처 등 4개 분야로 진행된다. 서울시는 3월 예비 강사들을 정식 마을강사로 위촉한다.
마을강사들은 앞으로 77개 마을 중 주민공동체를 구성하지 못했거나 구성했어도 정착되지 못한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활동한다.
또한 공무원들이 주거환경관리사업의 사례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시·구 공무원을 대상으로도 정기 강연을 하게 된다.
현재 77개 중 61개 마을에서 주민공동체를 구성하고 주민 주도로 공동체 복원과 저층주거지 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나머지 16개 마을에서는 주민공동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77개 중 기반시설 조성 등 공공부문 사업이 완료된 20개 마을에서는 주민공동체운영회가 중심이 돼 주민공동체 유지와 저층주거지 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시가 주거환경관리사업을 7년간 진행해 본 결과, 주민공동체가 정착된 선행마을과 새로 시작하는 후발마을이 확실히 구분되는 상황"이라며 "마을강사를 통해 지금까지 민·관의 협업을 뛰어넘는 민·민 간 협업의 성공사례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