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 속도·용량 2배 GDDR6 그래픽 D램 양산

가상화폐(암호화폐) 채굴 열풍으로 그래픽카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그래픽카드의 처리 속도와 전력사용을 이전 제품보다 획기적으로 개선한 그래픽D램 반도체를 본격 양산한다.

기존 제품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2배 이상 높인 이 반도체는 엄청난 양의 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AI(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등 차세대 기술에 필수적인 메모리로 꼽힌다.

삼성전자가 양산하는 세계 최고 속도 '16Gb GDDR6 그래픽 D램' 제품./삼성전자



이번 본격 양산으로 삼성전자는 글로벌 D램 분야에서 경쟁사들보다 프리미엄 그래픽 D램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18일 업계 최초로 10나노미터급(1x ㎚, 10나노미터 후반) 미세공정 기반의 18기가비피에스(Gbps)의 속도를 구현한 '16기가비트(Gb) GDDR6 D램'을 지난달부터 양산했다고 밝혔다.

2014년 12월 세계 최초로 8Gbps(기가비트/초)의 20나노 8Gb GDDR5 D램 양산을 시작한 지 2년만이다.

GDDR(Graphics Double Data Rate) D램은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특화된 메모리 반도체를 말한다. 일반 PC나 서버, 영상재생 기기, 고성능 게임기 등에서 그래픽 카드의 명령을 받아 동영상과 그래픽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데 특화됐다.

16Gb GDDR6 D램은 기존 GDDR5 D램과 비교할 때, 초고속·고용량·초소형·초절전 특성이 동시에 구현된 것이 특징이다.

GDDR5 D램보다 2배 빠른 속도(8Gbps→16Gbps)와 저전력 설계(1.55V→1.35V)로 전력효율이 35% 이상 향상됐고, 20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공정 대비 칩 크기가 줄어 생산성도 약 30% 늘어났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1초당 약 72기가바이트(G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FHD급 영상 48편을 단 1초에 읽고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 8K 초고화질(UHD) 영상 등과 같은 차세대 시스템 개발업체들에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회사측은 자신했다.

특히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주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초고속 인식, 처리해야 하는 자율주행차량 기술에 적용될 수 있어 자동차 및 네트워크 시장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IT 자문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5% 상승한 4510억달러(약 48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올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도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그래픽카드에 탑재되는 D램 평균 용량도 2017년 2.2GB에서 2021년 4.1GB로 연평균 17%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최신 그래픽D램의 수요도 밝은 상황이다.

한진만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장(전무)은 "이번 16Gb GDDR6 D램 양산으로 글로벌 고객들에게 최고 속도·최대 용량의 라인업을 적기에 공급하게 됐다"며 "향후에도 차세대 GDDR6 그래픽 D램을 한 발 앞서 출시해 게임 및 그래픽 카드 시장을 선점하고, 특히 자동차 및 네트워크 시장의수요 증가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