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지난해 가상화폐 거래 가상계좌를 가상화폐 거래소에 제공해 수수료 수익 22억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중 수수료 수입 1·2위는 공적인 목적을 위해 설립된 IBK기업은행과 NH농협은행이었다.
금융감독원이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실에 제출한 가상통화 취급업자에 대한 은행 수수료 수익 현황을 보면 농협·기업·국민·신한·우리·산업 등 6개 은행의 지난해 가상통화 관련 수수료 수입은 22억2100만원이다.
이는 2016년(6100만원) 대비 36배로 늘어난 수준이다.
같은 기간 6개 은행의 가상화폐 가상계좌 잔고는 322억원에서 2조670억원으로 64배 폭증했다.
은행들이 가상화폐 거래 가상계좌를 통해 벌어들인 수수료 수입은 사실상 가상화폐 거래자들이 은행에 낸 돈이다.
시중은행들은 가상계좌를 제공하면 가상화폐 거래소로부터 입금 건당 200~300원씩 수수료를 받고 있지만, 거래자가 자금을 출금할 때 거래소에 더 비싼 수수료 낸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거래자가 은행 수수료를 부담하는 것이다.
일례로 국내 한 대형 거래소는 1000만원 이하 출금에 건당 1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은행들은 지난해 가상화폐 거래가 폭등하는 과정에서 별다른 비용을 들이지 않고 수수료를 챙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수수료 수입을 가장 많이 벌어들인 은행은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이다. 최근 다크호스 거래소로 떠오른 업비트에 가상계좌를 준 기업은행은 가상계좌 수수료를 건당 300원으로 책정해 총 6억7500만원을 벌었다.
최대 규모인 빗썸과 코인원에 가상계좌를 내준 농협은행의 수수료 수입도 6억5400만원에 달했다. 빗썸과 후발 거래소 4곳에 가상계좌를 제공한 신한은행도 연간 6억2100만원의 수수료 수입이 있었다.
국민은행의 수수료 수입은 1억5100만원, 산업은행이 6100만원, 우리은행이 5900만원 순이었다.
은행들은 지난해 말 정부 대책에 따라 가상계좌 신규 발급과 기존 가상계좌의 신규 회원 추가를 차단했으며, 기존 거래자는 실명 전환할 계획이다.
박용진 의원은 "그간 은행들은 가상화폐 거래를 통해 수수료 수익을 챙기면서도 고객 보호차원에서는 나몰라라 한 측면이 있었다"며 "은행 자체적인 보호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