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동 직원의 응급 호출 스마트워치 착용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현장 직원들에게 응급호출 기능을 갖춘 스마트워치를 보급했다.
시는 찾동을 시행하는 24개 자치구 342개 동에 응급호출·위치추적 기능을 갖춘 스마트워치 1049대와 응급호출기 366대를 보급했다고 17일 밝혔다. 각 동별 현장직원 수에 맞춰 3명당 1대 꼴로 보급했다. 시가 투입한 예산은 1억4000여만원이다.
이번에 서울시가 보급한 스마트워치는 위급상황 발생 시 원터치 응급호출이 가능하다. 현장 방문 공무원이 사전에 지정한 동료 등에게 응급전화 발신을 할 수 있다. 3자(공무원·동료·112) 동시 통화도 가능하다. 응급통화 발신 시 동료 연결부터 상황 종료까지 모든 통화 내용이 녹취돼 현장 상황파악을 할 수 있다.
이번 스마트워치 보급은 복지 사각지대를 누비는 복지플래너와 방문 간호사 등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추진됐다.
서울시 조사 결과, 찾동 현장방문 인력은 정신질환·가정폭력·교정시설 출소자 가구 등을 방문할 때 욕설이나 폭언(52.8%), 언어적 성희롱(18.6%) 등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또한 찾동 시행 전보다 동주민센터 직원의 현장 방문횟수가 약 2.5배(연 5만명→13만명)로 늘어나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찾동 복지플래너의 73%, 방문간호사의 99%가 여성인 점도 대책 마련을 앞당겼다.
서울시가 찾동에 참여 중인 복지플래너를 설문조사한 결과, '안전용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94.6%에 달했다.
시가 사전조사힌 결과, 찾동 시행 동 중 184개 동(53.8%)에서 스마트폰, 호루라기 등 안전용품을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대부분의 단말기에는 응급호출기능이 없어 위험에 취약했다. 서울시가 2인 1조 동행방문 상담 원칙과 위기대응 매뉴얼 제작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신속한 위험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도 있었다.
시는 17~18일 각 구청과 찾동 시행동 방문인력 36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워치 사용법을 교육한다. 올해 추가로 찾동을 시행하는 60개 동주민센터에도 스마트워치 등 안전용품 약 240대를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김인철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에게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지원함으로써 혹시나 있을 위험상황에 대비하고, 방문업무 수행시 안정감을 주어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