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들어가는 '2세대 8GB HBM2 D램' 아쿠아볼트.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전송량의 2세대 8GB HBM2(고대역폭 메모리) D램인 '아쿠아볼트' 를 양산한다고 11일 밝혔다.
1.2V기반 2.4Gbps의 아쿠아볼트는 풀HD 영화(용량 5GB) 61편 분량인 307GB의 데이터를 1초에 처리할 수 있다. 기존 고성능 그래픽 D램(8Gb GDDR5, 8Gbps)의 초당 데이터 전송량인 32GB보다 9.6배 빠른 셈이다. 특히 한 시스템에 8GB 패키지 4개를 탑재하면 최대 초당 1.2T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기존 1.6Gbps기반 시스템의 0.82TB 대비 성능을 최대 50%까지 향상 시킬 수 있다.
2세대 8GB HBM2 D램 아쿠아볼트는 1개의 버퍼 칩 위에 8Gb 칩을 8단 적층한 패키지로 '신호전송 최적화 설계'와 '발열 제어' 등 핵심 기술 적용을 통해 업계 최초로 2.4Gbps의 동작속도를 달성했다. 신호전송 최적화 설계 기술은 각 TSV 핀들의 신호전송 속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로, HBM2 D램이 최고 수준의 성능을 유지하게 한다. 발열 제어 기술은 8Gb HBM2 D램 칩 사이에 열 범프를 더 많이 배치하는 방식으로 칩의 온도 상승을 안정적으로 제어했다.
또한 아쿠아볼트는 패키지 아랫부분에 얇은 보호막을 추가해 외부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갖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시스템 양산과정에서 파손률을 낮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2세대 HBM2 D램 제품을 인간의 생존에 필수 불가결한 '물(아쿠아)'과 번개처럼 빠르다는 의미인 '볼트(Bolt)'의 합성어 아쿠아볼트로 브랜드화했다. 이는 삼성전자만의 차별화된 초격차 제품임을 의미한다. 1세대 HBM2 D램 제품 브랜드명은 '플레어볼트'였다.
이번 양산을 통해 삼성전자는 1세대에 이어 2세대까지 업계 유일하게 HBM2 D램을 공급하며 슈퍼컴퓨터(HPC), 그래픽카드 등 프리미엄 HBM2 D램 시장을 기존 대비 3배 이상 확대시켜 나갈 방침이다.
삼성전자 한재수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팀 부사장은 "이번 2세대 8GB HBM2 D램까지 업계 유일하게 양산해 초격차 제품 경쟁력을 더욱 강화했다"며 "향후 다양한 고객들의 차세대 시스템 출시에 맞춰 안정적인 공급 체제를 구축해 프리미엄 D램 시장에서 독보적인 사업 역량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는 글로벌 IT 고객들에게 아쿠아볼트 공급을 시작했다. 슈퍼컴퓨터 제작 업체, AI 전용 솔루션 개발 업체, 그래픽 업체와 차세대 시스템 관련 기술 협력을 더욱 강화해 HBM2 D램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