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편찬원이 고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서울 복지 역사를 정리한 '서울사회복지사'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서울사회복지사는 편찬원의 10번째 서울역사총서 시리즈다. 앞서 편찬원은 행정·건축·교통·상공업·인구·재정·항일독립운동·공연예술·재해 등 주제별 서울의 역사를 연구해 시리즈를 발간해왔다.
이번 발간은 그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지 않았던 서울지역 사회복지의 역사를 각 시기별로 정리·분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편찬원은 설명했다.
서울사회복지사는 고대의 구휼제도에서부터 현대의 보편적 사회복지까지 서울지역 사회복지의 역사를 담았다. 현대적 사회복지가 도입되기 이전 시대의 복지제도는 지금과 어떻게 달랐는지, 서구의 사회복지 개념이 도입된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회복지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를 자세히 살폈다.
사회복지는 고대사회 때부터 구휼제도를 통해 이어져왔다. 진대법·의창·사창·환곡 등은 농민 구제 목적으로 시행됐다.
근대 이전에는 왕이 백성에게 베풀어 주는 형태로 복지가 시행됐다. 반면 개항기부터는 서구적이고 새로운 개념의 사회복지가 실현되었다. 현대에 들어 중요한 사회적 화두가 된 복지는, 보편적 복지를 지향하게 됨에 따라 복지를 누릴 수 있는 계층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서울사회복지사는 총 3권 1600쪽 분량으로 구성된다. 제1권에서는 고대에서 개항기에 이르는 기간의 사회복지 정책과 제도, 그리고 운영을 살폈다. 고대의 구휼제도에서 개항기의 서구적 복지 유입까지를 되돌아본다.
제2권에서는 광복 이후 현대의 사회복지의 정책과 제도의 변화를 살폈다. 광복 이후 6·25전쟁을 겪으며 우리나라는 해외 원조단체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지금은 해외에 원조하는 국가가 되었다. 사회복지의 범위도 매우 커졌다. 중앙정부에서 주도하던 사회복지정책은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제3권에서는 현재의 사회복지를 서비스별로 살펴보았다. 현재 화두가 되고 있는 다문화복지를 포함해, 아동·청소년복지, 노인복지, 여성복지, 장애인복지, 의료사회복지, 정신건강사회복지, 지역복지에 이르는 서비스를 총망라했다.
책에는 관련 사료와 사진 자료가 첨부됐다. 특히 현대의 사회복지는 각종 통계 자료와 도표를 최대한 많이 활용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고 편찬원은 설명했다.
김우철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서울사회복지사'의 발간은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라는 의미에서 뜻 깊은 성과"라며 "과거에는 어떠한 모습으로 사회복지가 시행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회복지의 방향이 설정되고 시행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앞으로 사회복지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해법을 역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사회복지사는 서울시 신청사 지하 1층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다. 서울도서관을 비롯해 시내 공공도서관에서도 만날 수 있다. 또한 서울역사편찬원 누리집에서 전자책(e-Book)으로도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