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시, 4차산업기술 행정에 적용…2100억 투자로 청년일자리 창출

IT기업 관계자들이 지난해 열린 '서울시 정보화사업 설명회'에서 사업별 추진내용과 예산규모 등을 듣고 있다./서울시



서울시가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서비스 등을 행정서비스에 도입하고, 수백개 정보화사업에 2100여억원을 투자한다.

서울시는 올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행정서비스에 적용하고, 정보화사업 842개에 2121억원을 투자한다고 9일 밝혔다. 이는 2048억원을 투자했던 작년보다 3.5% 증가한 규모다.

시는 대부분의 사업이 정보통신(ICT)기술을 가진 민간 기업에 발주해 실행되기 때문에, 이번 투자가 청년일자리 창출과 경기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은행의 취업유발계수를 적용하면 2694개의 청년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시는 분석했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 수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인공지능이 결합된 챗봇(Chatbot)과 시정 관련 대화를 주고 받는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서비스'를 도입한다. 카카오톡과 네이버톡 등 대중적인 메신저를 활용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올해 4개년 계획을 세우고 하반기에 시범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IoT 도시 조성 실증지역은 올해 7개소에 추가 조성한다. 실증지역은 2015년 북촌에서 시작해 2016년 금천·홍대·신촌·이대·강남, 지난해 노원·용산·은평·서대문 4개 자치구와 서울로7017, 어린이대공원, 전통시장 등으로 확대돼 왔다.

서울시는 분산 운영된 전산실을 통합하기 위해 상암동에 '제2데이터센터(클라우드 센터)구축'을 마친 상태다. 올해는 도시교통본부 전산실의 전산장비를 제2데이터센터로 이전·통합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센터 인프라구축(97억원)과 정보자원 통합 인프라 구축 사업(118억원)을 추진한다.

또한 '초고속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 '서울시 통합보안관제시스템 고도화' 등 사업을 추진해 정보보안을 강화하고, 행정서비스의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842개 정보화사업은 기관별로 ▲서울시 298개(1169억원) ▲25개 자치구 489개(672억원) ▲투자·출연기관 55개(280억원)다. 유형별로는 ▲시스템구축 53개(337억원) ▲소프트웨어 개발 50개(137억원) ▲정보통신과 정보보안 78개(198억원) ▲운영과 유지관리 466개(834억원) 등이다.

서울시는 상세한 사업계획과 발주일정 등을 기업과 시민에게 사전 안내하는 '2018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설명회'를 11일 오후 4시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에서 개최한다.

설명회는 시민과 ICT기업 등 누구나 사전 등록 없이 참여할 수 있다. 기업들은 서울시 각 기관의 정보화사업 발주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현장에서 사업 담당자들과 1대 1 상담도 받을 수 있다.

시는 현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기업들을 위해 행사 당일 누리집으로 설명회를 생중계한다. 설명회가 끝난 뒤에는 올해 추진 예정인 842건의 정보화사업 목록과 사업 내용에 관한 상세한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김태균 서울시 정보기획관은 "앞으로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과 같은 정보기술을 활용해 행정서비스를 혁신하고 도시문제 해결하기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