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베이거스(미국)=정은미기자】 "TV는 사용자가 집 안의 스크린에 기대하는 모든 요구를 담아 내 '일상 생활의 중심(The Center of Everyday Life)'이 돼야 합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한종희 사장은 7일(현지시간) CES 2018 개막에 앞서 미국 라스베이거스 엔클레이브 컨벤션센터에서 '삼성 퍼스트 룩 2018' 행사를 열고, 이 같은 삼성전자 미래 스크린 방향을 제시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한종희 사장이 '삼성 퍼스트 룩 2018' 행사장에서 마이크로LED 기술기반으로 만든 146형 세계최초 모듈러 TV '더 월'을 소개하고 있다./삼성전자
한 사장은 "앞으로 삼성전자는 사용자가 필요한 모든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 다른 스마트 기기들과 간편하게 연결돼 일상생활에 가치를 더하는 스크린, 설치 공간이나 크기에 제약 없이 원하는 대로 확장 가능한 스크린을 구현해 TV 이상의 시청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 LED 기술'을 적용한 146형 모듈러 TV '더 월(The Wall)'과 'AI 고화질 변환 기술'이 탑재된 85형 8K QLED TV를 공개하며, 세계 300여명의 취재진들의 시선을 단숨에 사로잡았다.
마이크로 LED 기술이 적용된 146형 모듈러 TV 더 월은 삼성전자 LED·반도체 기술과 대만의 마이크로 LED 업체인 플레이나이트라이드사의 기술력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더 월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초소형 LED를 이용해 백라이트는 물론 컬러필터까지 없애 LED 자체가 광원이 되는 '자발광 TV'다. 모듈러 방식으로 소비자는 기호에 따라 테두리(베젤)를 완전히 없애고 스크린 사이즈와 형태를 원하는 대로 조립할 수 있다. 화질뿐만 아니라 발광효율·광원수명·소비전력 등 내구성·효율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 사장은 행사 후 이어진 한국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더 월에 대해 "TV 컬러필터는 화질 재생에 제한적 요소가 많다. 하지만 그걸 없애려면 자발광이 필수"라며 "롯데시네마에서 선보이고 있는 (시네마LED의) 극장 화질을 TV로 보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 제품을 연내 상용화해 일반에도 판매할 계획이다. 높은 가격을 예상하는 기자들과 달리 한 사장은 양산이 본격화되면 내려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웨이퍼의 인치가 높아질수록 충분한 가격 경쟁력이 생길 것"이라며 "같은 웨이퍼 안에 더 많은 칩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 가격을 낮추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마이크로LED 방식은 오히려 작은 크기의 화면 구현이 더 어려운 특성이 있다"며 "향후 시네마LED처럼 더 큰 화면을 만드는데 마이크로LED 기술을 활용 것"이라고 덧붙였다.
146형 모듈러 TV '더 월'에 사용된 웨이퍼에 LED를 생산해 기판에 붙인 것을 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 /정은미 기자
삼성전자는 인공지능을 적용해 저해상도 콘텐츠를 8K 수준 고화질로 변환해 주는 2018년형 8K QLED TV 85형도 선보였다. 이 제품은 TV가 '인공지능(AI) 고화질 변환 기술'로 저해도 영상을 밝기·블랙·번짐 등을 보정해 고화질 영상으로 변환해준다.
TV 시장이 급속히 대형화되는 반면 UHD급 콘텐츠 시장은 아직 미흡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원본 화질에 상관없이 2018년형 8K QLED TV로 고화질 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 미국법인 데이브 다스 상무는 "삼성전자의 AI 고화질 변환 기술로 소비자들은 지상파, 케이블, 위성 TV 등에 관계없이 저해상도의 영상도 고화질로 즐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AI 고화질 변환 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올 하반기에 우리나라와 미국부터 순차적으로 전 세계에 출시될 예정이다.
한 사장은 2018년 QLED TV에 대해 "지난해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삼성 디바이스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서 생활 편리성을 높였다는 것"이라며 "삼성 IoT 서비스용 클라우드를 '스마트싱스'로 통합해 연결성을 확대하고 연결된 IoT 기기들을 스마트싱스 앱 하나로 간단하게 연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 오는 3월 런칭에 맞춰 파워풀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그는 "삼성전자는 앞으로 TV 시장을 QLED와 마이크로 LED를 투 트랙으로 가져갈 것"이라며 "LCD TV의 경우 사이즈를 키우는 게 비용이나 생산수율 등에서 한계가 있지만 마이크로 LED TV는 모듈러를 통해 이어붙이면 얼마든지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