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2018 따뜻한 금융, 행복한 한국] <3>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2020년 아시아 리딩금융그룹 도약"

2020 스마트 프로젝트 업그레이드…"글로벌, 디지털, 자산관리, 투자은행로 영토 확장할 것"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올해 '1등 금융그룹' 재탈환에 나선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금융을 강화하고 글로벌, 자산관리(WM), 투자은행(IB) 등으로 영토를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조 회장은 올해 경영 슬로건을 '더 높은 시선(視線), 창도(創導)하는 신한'으로 정하고 기존 경쟁구도를 파괴할 새판을 짜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신한금융지주



◆ '2020 스마트 프로젝트' 원년

조용병 회장은 최근 신년사를 통해 "'2020 스마트 프로젝트'를 통해 위험과 기회가 혼재된 뷰카(VUCA)시대의 진정한 리더가 되겠다"고 밝혔다.

2020 스마트 프로젝트는 '2020년까지 아시아 리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겠다'는 그룹 중장기 그룹전략인 '2020 프로젝트'의 실질적 성과창출 가시화를 위해 신한의 일하는 방식인 'SMART'를 더한 의미다.

이를 위해 신한금융은 올해 디지털금융과 글로벌금융 강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조 회장은 "올해는 성장전략을 다각화해 미래 기회를 선점하고 글로벌과 자본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며 "디지털 신한으로서의 신속한 전환을 이루고 원신한 전략 실행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원 신한 전략의 대표적 성공 사례로 지난달 GIB(글로벌&그룹 투자은행) 부문의 판교 알파돔시티 인수를 꼽으며 "지주·은행·금투·생명 겸직의 그룹 투자사업부문(GID)을 이달 안에 출범해 그룹 차원의 고유자산운용 전략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글로벌투자금융(GIB), 자산관리(WM), 글로벌 사업 부문의 조직개편을 통해 원신한 전략 플랫폼도 마련했다. 특히 이달 중 지주·은행·금투·생명 등 4개사 겸직의 그룹 투자사업부문(GID)을 출범해 그룹 고유 자산운용 전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시아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영토 확장'을 제시했다.

신한은 지난해 ANZ베트남 리테일 인수, 멕시코 현지법인 인가, 지역별 협업을 촉진하는 컨트리 헤드(country head) 제도 시행 등 과감한 사업모델 혁신을 통해 전 세계 20개국에 171개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한 상태다.

조 회장은 "그룹의 기본인 리테일과 기업 분야의 경쟁력을 더 높이는 가운데 글로벌, 디지털, 자산관리 IB 등으로 신한의 영토를 계속 확장해야 한다"며 "핵심시장에서는 압도적인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아울러 유망시장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글로벌 신한의 위성을 굳건히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지주 본사./신한금융지주



◆ M&A로 신성장동력 발굴

신한금융은 올해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해 M&A(인수·합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신한금융은 증권과 손해보험 쪽이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조 회장은 증권사와 손보사 위주로 M&A를 관심 있게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은행 부문 강화를 위해서도 M&A를 적극 검토할 것으로 관측된다. 신한금융은 비은행 부문 수익기여도가 2012년 이후 꾸준히 40%대를 유지하고 있다.

M&A에 성공하면 리딩뱅크를 가볍게 되찾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KB금융에 리딩뱅크 자리를 내준 데는 KB금융이 현대증권(현 KB증권)과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 인수한 영향이 크기 때문.

올해 실적 전망도 좋다.

한화투자증권 성용훈 애널리스트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신한지주는 금리 하락구간 동안 여신전문금융업 덕택에 상대적으로 마진을 더 잘 방어해 왔다"며 "꾸준했던 판관비 감축 효과와 어우러져 내년 증익은 전국구은행 중 상위권에 속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KTB투자증권 김한이 연구원도 "신한은 2017년 3분기 기준 40%에 달하는 높은 비은행 자회사 기여도, 0.3% 내외에서 탁월하게 관리되던 대손비용률, 비자(VISA) 지분매각이익 등 일회성 이익으로 과거 건전성 이슈로 타행들의 실적 변동성이 높아지던 시기에도 안정적 규모의 순이익을 시현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타행의 소호(SOHO) 중심 성장세가 뚜렷한 가운데 신한은행은 비외감 우량중소기업 중심 여신성장 기조로 선제적 전환. 우량 중소기업여신확보 경쟁력이 부각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