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수출의 변동구간별 응답 비중./한국은행
국내 제조업체의 54%가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정보기술(IT), 석유화학, 기계장비업체에서 긍정적인 전망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간한 '지역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60개 제조업체 중 54.2%가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한은 15개 지역본부가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내년 수출이 올해와 유사할 것이라고 예상한 업체는 28.1%였고,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본 업체는 17.7%에 불과했다.
수출 증가폭으로는 올해 대비 '5~10%'로 예상한 업체의 비중이 22.3%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은 '5% 이하'(16.9%)였다. '10% 초과'라고 응답한 업체도 15.0%로 집계됐다.
수출 증가 예상 업체 비중이 높은 업종은 IT(66.7%), 석유화학·정제(64.5%), 기계장비(62.1%) 순이었다.
반면 조선은 수출 감소를 예상한 비중이 57.1%에 달해 수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는 수출 증가 업체 비중이 39.4%였고 철강은 증가·감소 전망 비중이 각각 37.5%로 같았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중소기업에서 증가 예상 업체 비중이 각각 54.5%, 54.0%로 감소 예상 업체 비중(각각 17.9%, 17.5%)보다 높았다.
권역별로 보면 전 권역에서 수출 증가를 예상한 업체 비중이 높았다.
다만 조선업이 주력인 동남권은 수출 감소(18.0%), 전년과 유사(40.0%) 비중이 다른 권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2018년 수출 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평가./한국은행
내년 수출 유망지역은 중국(22.5%)으로 전망됐다. 그다음은 미국 17.9%, 동남아시아 16.4% 순이다.
중국, 미국, 일본을 내년 수출 유망지역으로 응답한 업체 비중은 48.9%로 1년 전(52.9%)보다 소폭 하락했다.
수출 증가 예상 업체들은 긍정적인 전망의 요인으로 '신시장 개척 노력'(23.8%), '품질 경쟁력 향상'(18.9%),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개선'(18.4%) 등을 꼽았다.
반면 수출 감소를 전망한 업체들은 '글로벌 경쟁 심화'(22.7%), '가격 경쟁력 약화'(21.1%) 등을 주요 요인으로 들었다.
내년 제조업 수출 여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세계 수요'가 긍정적(48.5%)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글로벌 경쟁'은 58.4%가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호무역주의'도 제조업체의 5.32%가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조업체들은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신제품 개발 등 품질 경쟁력 강화 ▲신시장 개척 ▲가격경쟁력 화보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기술개발 지원·세제 혜택 확대, 보호무역 완화를 위한 통상 교섭 강화 등 정부 역할도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