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거주 여성 가구주는 '월세'가 43.8%로 가장 많은 반면, 남성은 '자가' 비율이 50.1%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남녀 시민의 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17 성(性)인지 통계: 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을 발간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서울시가 발표한 주요 내용을 보면, 여성 가구주 비율은 월세>자가>전세 순을 차지했다. 남성의 경우 자가>전세>월세 순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여성은 20대~50대 '월세', 60대 이상 '자가' 비율이 높았다. 반면 남성은 20대 '월세', 30대 '전세', 40대~60대 이상 '자가' 비율이 높았다.
서울 거주 여성은 남성보다 주거 안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다는 분석이다.
기혼 여성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고용계약 1년 이상)은 44.2%로 미혼여성 61.1%보다 16.9%포인트 낮았다.
반면 남성은 혼인상태별 상용근로자 비율 차이가 0.5%포인트(미혼남성 53.6%, 기혼남성 54.1%)로 나타났다.
이같은 차이는 월평균 소득 수준에서 두드러진다. 서울 여성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96만원으로 남성 310만원의 63.2% 수준으로 조사됐다.
30대 이상 여성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49.4%로 남성 70.9%보다 21.5%포인트 낮았으며, 65세 이상 여성의 국민연금 수급률은 24.8%로 남성 51.5%보다 26.7%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약 6000명으로 2010년 이후 꾸준히 늘고 있지만, 그 비율은 6.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 서울시 위원회 위촉직 여성위원 비율은 40.3%로 처음으로 40%를 넘었다. 5급 이상 여성공무원 비율은 2007년 13.1%에서 지난해 20.8%로 부쩍 올랐다.
2017 성인지 통계는 10개 부문(인구·가족·보육·교육·경제활동·건강과 환경·복지·정치와 사회참여·문화와 정보·안전), 43개 영역, 480개 통계지표로 구성됐다. 여성과 남성의 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려는 취지다.
성인지 통계는 2015년부터 격년으로 발간되고 있다. 이번 통계는 서울시와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지난 3월~11월 전문가의 자문과 행정자료 조사 등으로 작성됐다.
성인지 통계는 좁은 의미로는 남녀로 구분된 통계다. 궁극적으로는 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성별로 불평등한 현상을 보여주고 철폐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모든 통계를 의미한다.
서울시는 이번 통계를 책자로 발행해 지자체와 시립도서관, 대학교 등에 배포한다. 서울시 누리집 정보소통광장에서도 파일을 내려 받을 수 있다.
배현숙 서울시 여성정책담당관은 "이번 성인지통계 작성이 성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각 부문별 맞춤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매년 테마별 성인지통계를 작성해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