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청탁금지법이 본격 시행 됐음에도 골프장 내장객은 지난해보다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에 따르면 올해 골프장에서 골프를 친 사람은 3542만 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3천400만 명보다 2.2% 늘어난 것이다.
청탁금지법이 골프 산업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건 사실상 올해다.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것은 지난해 9월 28일로, 당시 골프 시즌은 거의 막을 내린 시점이었다. 이에 따라 골프 산업에 '김영란법'이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올해부터로 전망됐다.
'김영란법'은 국내 골프장 내장객 증가 추세를 꺾지 못했다.
지난 1998년과 2010년을 빼고 내장객은 해마다 증가해왔는데, 올해는 골프장이 늘어난 것이 내장객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 골프장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골프장을 찾는 이들이 늘어난 것이다.
올해 대중 골프장은 지난해보다 18홀 기준 3.5개가 늘었다. 게다가 회원제 골프장에서 대중 골프장으로 업태를 바꾼 골프장은 18홀 기준 13개소에 이르렀다. 회원제 골프장 내장객은 회원제 골프장의 감소와 맞물려 작년보다 4% 줄어든 반면 대중 골프장 내장객은 작년보다 9%나 늘어났다.
대중제 골프장 확산과 함께 골프장 그린피 인하 추세도 골프장 내장객 증가를 이끈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1인당 골프장 이용 횟수가 2015년 8.5회에서 올해는 9.4회로 크게 늘었다.
골프장 내장객 증가 추세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천범 소장은 "국민 15.8%가 금전적 여유가 된다면 골프에 참여하고 싶다고 나온 올해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는 잠재적 골프 수요가 적지 않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골프장 내장객 증가에도 골프장 경영은 갈수록 어려워질 것이라고 서 소장은 내다봤다. 가격 인하 경쟁이 더 치열해지면서 영업 이익률 감소 현상은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서 소장은 "영업 여건이 나쁜 지방 골프장 등은 수익성 확보를 위해 비용과 인력의 구조조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