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1일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민간·공공부문이 상호보완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금융분야 TF(태스크포스)' 1차 회의를 열고 "우리나라는 공공부문 중심의 빅데이터 활용 노력은 어느 정도 있었으나 민간부문의 발전은 지체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민간부문에 양질의 데이터가 집중돼 있는 금융분야의 특성을 감안해 자발적인 빅데이터 개발·활용을 지원할 것"이라며 "공공부문은 대형 금융회사와 중소형사간 정보격차를 없애고 정보가 부족한 창업기업·핀테크업체 등을 지원하도록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운영하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거대 경제권역에서의 논의 등을 감안해 정보보호와 활용한 균형을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형식화돼 있는 정보활용 동의제도를 실질화하는 등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내실있게 보호해야 한다"며 "금융권 정보보호 상시평가제 도입 등을 통해 더욱 신뢰받는 금융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빅데이터 테스트베드는 금융 분야에서 우선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 위원장은 "이번 TF에서 좋은 방안이 마련되면 활용도가 높은 정보가 빠른 속도로 축적되고 정보보호에 대한 상시적 감독이 이뤄지고 있는 금융분야를 빅데이터 테스트베드로 우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TF 운영을 통해 빅데이터 관련 주요 검토과제에 대한 세부 방안을 마련한 뒤, 관련 부처·단체와의 협의 및 공청회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금융분야 추진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