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패션

4차 산업혁명·모바일 채널…2017년 패션업계는?

7일 한국패션협회가 '2017년도 한국 패션산업 10대 뉴스'를 발표했다. /한국패션협회



올해 패션업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 열풍이 업계 패러다임을 이끌었다. 온라인 시장을 장악한 모바일 채널도 업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7일 한국패션업계는 서울 성수동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17년 패션업계 10대 뉴스'를 발표했다.

협회는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 4차 산업혁명 열풍은 제품 기획, 유통 채널 등 패션 전반에서 변화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한국패션협회 관계자는 "추천 알고리즘, 큐레이션 서비스 등 일명 '취향저격' 고객 맞춤형 제품 기획을 위한 패션 A.I MD 도입 등으로 발전될 것"이라며 "A.I, 딥러닝 등을 이용한 개인 큐레이션 서비스 시장 확대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모바일 쇼핑 거래 규모가 월 4조원을 돌파하고 네이버 쇼핑 플랫폼이 급성장하는 등 모바일이 패션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롱패딩, 후드 티셔츠 등 단일 아이템 전성 시대도 올해 패션 트렌드다. 대표적으로 최근 롱패딩 열풍은 장기 불황에 단비같은 매출 효자 아이템으로 꼽힌다.

해외시장은 올해 심각했던 사드 문제로 인해 중국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확대됐다. 직진출보다 라이선스 비즈니스, 파트너쉽 등 진출 방법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유통기업 자체 상표인 PB는 올해에도 주목받았다. 신세계, 현대, 롯데 등 대형 유통 3사뿐만 아니라 온라인 편집숍도 PB 개발에 집중했다. 단순 가격경쟁력을 내세우는 PB 상품기획에서 발전돼 트렌디함과 다양성, 상품력을 구축한 브랜드로 개발되고 있으며 매출 비중은 3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1980~2000년대 초반 출생한 밀레니엄 세대가 부상하고 이들 사이에서 '저항'을 상징하는 청년 문화가 인기를 얻으면서 스트리트 캐주얼과 복고 트렌드가 캐주얼 및 스포츠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험난한 경영환경에 따른 노사 협력 노력, 1인 소비시장, 협력사와 상생을 통한 지속 성장 모델 추구, 구조 고도화 시작 등이 10대 뉴스에 포함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