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겨울 대규모 촛불 집회 등으로 열리지 못했던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이 올겨울 돌아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서울시는 서울광장 일대에 스케이트장을 만들어 개장하는 방안을 관련 부서와 검토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은 매해 연말연시 분위기를 전해왔다. 교통의 요지인 서울시청 앞에 있고 1000원으로 즐길 수 있다보니, 2004년부터 지난해 초까지 누적 입장객 수가 234만4000명에 이른다. 한 해 평균 19만5000명 꼴로 이곳을 다녀간 셈이다. 스케이트장은 서울광장 면적의 2/3를 차지한다.
서울시가 지난해 스케이트장을 열지 않은 이유는 촛불이다. 시는 지난해 10월 말부터 박근혜 전 대통령 퇴진을 요구 집회가 도심 곳곳에서 열림에 따라, 안전을 고려해 스케이트장 개장을 미루었다.
결국 2016∼2017시즌에는 아예 문을 열지 않고 한 해 쉬어가기로 했다.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은 "연례적으로 설치한 스케이트장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곳이기도 해서 안 하기도 그렇다"면서도 "안전사고나 불미스러운 일이 없도록 지켜내고, 평화적이고 질서 있는 집회가 되도록 준비해야 한다"며 시민의 안전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서울광장은 촛불에 이어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보수 단체 농성에 점거되기도 했다.
이들이 지난 1월 설치한 40여동의 농성 텐트는 5월 말 강제 철거됐다.
서울시는 올해 특별한 일이 없을 경우, 스케이트장을 다시 설치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스케이트장이 들어설 서울광장 옆에는 창고와 사무소, 휴게 음식점 등이 입주할 가건물 3동을 세우기로 하고 관할 자치구와 허가절차 등을 협의하고 있다.
시는 이달 말께 스케이트장 조성 공사를 시작해, 이르면 12월 하순 개장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통 이듬해 2월 초까지 운영되던 스케이트장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맞물려 2월 하순까지 유지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이번 올림픽 분위기를 띄우는 차원에서 여건이 되는대로 빙상 종목 체험 코너나 가상현실 공간 등을 운영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확정된 내용은 아무것도 없다"면서도 "원래 특별한 일이 없으면 (스케이트장 운영을) 진행해왔고, 운영을 전재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