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MHIS)이 정부로 이관돼 전국 표준화 모델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9일 서울시가 밝혔다.
서울시와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시청에서 '정신보건사례관리시스템의 전국 서비스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서울시 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의 이관, 전국 서비스 확대·구축에 상호 협력한다는 것이 골자다.
서울시는 1999년 국내 최초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통합전산프로그램인 서울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SMHIS·SEOUL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을 개발, 운영해왔다.
앞서 1995년 시행된 정신보건법에 따라 각 자치구에 세운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은 당사자와 신뢰감 형성과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중요하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기관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로 대상자의 만족을 이끌어낼 평가관리가 필요하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의 접근성과 적절성, 효과성, 전문성을 기준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했다. 2002년에는 1차 고도화를 통해 웹 버전 관리시스템도 구축했다.
2007년에는 2차 고도화를 통해 사용기관을 25개 지역정신건강센터, 중독통합관리지원센터, 의료 지원형 사회복귀시설 등 65곳으로 확대했다. 서울시는 5개 시·도(경기, 인천, 부산, 강원, 대구)에 이 시스템을 보급했다. 유사시스템 도용방지를 위해 2014년 저작권 등록도 마쳤다.
2015년에는 정신보건기관 간 효과적 서비스전달체계, 객관적인 양적·질적 평가, 정신건강서비스 연속성 확보를 위해 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 3차 고도화를 추진, 개인정보보호 보완 등 공공성과 보안성을 강화했다.
지난해에는 시 정신보건 전 기관으로 시스템을 확대, 현재 170개소에서 약 1만8000명 사례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시는 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 데이터를 서울시와 자치구별 데이터를 비교해 볼 수 있는 31개 지표로 개발했다. 지표는 변화와 수준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생성된 지표는 서울시민의 정신건강상태 파악, 정신보건정책 개발과 수행평가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지난 5월 시행된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라 정신의료기관 퇴원·퇴소자 지원이 강화돼 정부도 정신보건·복지사례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각 시·도는 정신보건 사례관리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구축해 사용하거나 시스템이 없는 지역은 수기로 사례관리를 하는 실정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이에 서울시와 보건복지부는 관련 정보시스템간 정보 공유와 서비스 연계를 통해 정신의료기관 퇴원·퇴소자 지원 전달체계의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이번 협약을 맺었다.
나백주 시민건강국장은 "이번 협약에 따라 서울시 정신보건정보시스템이 전국 서비스로 확대, 정신건강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국가 정신보건사업의 선도적인 협력자로서 정신질환의 편견을 없애고 시민의 정신건강을 증진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