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재테크

덩치 커지는 P2P금융 문제없나

대출액 1년 만에 10배 성장, 인수·합병도 속속…연체율도 동반 상승 "11월 중순부터 떨어질 듯"

P2P(개인간·peer to peer)금융의 덩치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성장의 장벽'으로 여겨졌던 P2P대출 가이드라인 도입에도 1년 새 10배가량 성장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그러나 대출액만큼 연체율도 늘면서 '부실의 불씨'가 보인다는 우려도 나온다.

P2P금융협회 누적대출취급액 추이./한국P2P금융협회



◆ 누적 대출액 2조원 넘어…M&A까지

6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10월 기준 회원사 59개의 누적 대출액은 전월 대비 983억원(6.7%) 증가한 1조5772억원으로 나타났다. P2P누적 대출액은 지난해 6월 24일 1525억5166만원에 불과했다가 1년 만에 1조원을 넘어서며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P2P금융 기업까지 합하면 누적 대출액이 2조원을 넘어선다. 크라우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P2P금융을 통한 누적대출액이 2조21억원으로 지난 4월 말 누적대출액 1조원을 돌파한 지 반년 만에 두 배로 불어났다. 업체 수도 지난해 1월 16개에서 올해 10월 말 175개사로 빠르게 늘고 있다.

P2P금융은 투자자에게는 저금리 시대에도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고, 중·저신용 대출자에게는 신용등급 하락 없이 중금리로 대출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금융권의 '러브콜'이 이어지며 M&A(인수·합병)를 통한 2차 성장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빌리는 지난 3일자로 코스닥 상장사인 에스에프씨에 인수합병됐다. 인수가는 110억원으로, 에스에프씨의 100% 자회사로 합병됐다. 이는 핀테크 스타트업 부문 P2P대출 분야 최초의 인수합병 사례다.

빌리 측은 "이번 인수합병 P2P금융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척도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지난 6월엔 핀테크 전문 투자기업인 세븐엔젤스홀딩스가 부동산 P2P기업 엘리펀드를 인수하고, 지난해엔 P2P기업인 탱커펀드가 다른 P2P기업인 십시일반을 흡수합병하기도 했다.

P2P금융협회 10월 말 기준 연체율 및 부실률 현황./P2P금융협회



◆ '부실의 불씨'는 연체율

문제는 '부실 가능성'이다. 앞서 금융권에선 P2P금융이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연체·부실 관리가 미흡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아울러 부동산 담보 대출 중심으로 대출액이 커지면서 부실의 위험성은 높아지는 모양새다.

P2P금융협회 공시를 보면 59개 회원사의 평균 연체율은 6.01%로 전월(2.99%)대비 3.02%포인트 올랐다. 부실률도 1.12%로 전월에 비해 0.2%포인트 커졌다.

가장 우려되는 곳은 연체율이 82.66%에 달하는 펀듀다. 펀듀의 연체율은 지난 8월만 해도 0%였으나 9월(49%)부터 껑충 뛰기 시작했다.

대환대출 방식으로 상품을 구성했지만 투자가 막히면서 상환이 줄줄이 밀린 탓이다. 펀듀가 주로 돈을 빌려주고 있는 홈쇼핑 업체의 경우 물건을 만들어 방송에서 판매한 뒤 수익금을 회수할 때까지 6개월 정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투자자들에게는 1개월~3개월짜리 단기 상품으로 분할 판매하면서 연체가 되기 시작했다.

이 밖에 금요일펀딩 17.42%, 이디움 18.65%, 빌리 16.51%, 스마트핀테크 9.37%, 올리펀딩 8.7%, 테라핀테크 8.14%, 모우다 7.49%, 피플펀드컴퍼니 5.34%, 팝펀딩 5.19% 등 연체가 발생한 16곳 중 5% 이상의 연체율을 보이는 곳이 무려 10곳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9~10월 장기간 추석 연휴 등 계절적 요인이 작용한 만큼 11월 중순 이후부터는 연체율이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펀듀 관계자는 "인기몰이를 위해 2~3개월 단기 상품을 판매하면서 공백 기간(연체)이 생겼다"며 "아울러 9~10월에 홈쇼핑 비수기라 업체 매출이 안 나온 영향도 있는데 상환 계획을 보면 11월 안으로 50% 이상 해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라펀딩(테라핀테크) 관계자도 "46억원 규모의 전주 삼천동 상품을 비롯해 건물 3곳이 추석 연휴, 호우 등 계절적 요인으로 공사가 지연돼 사용승인만 남겨둔 상태"라며 "채권운용에는 문제가 없어 조만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피플펀드도 "특정 상품 한 건이 연체되면서 전체 연체율이 올랐는데 11월 중순이 지나면 절반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