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만에 돌아온 '불꽃'…숫자로 본 2018 평창
지구촌 최대 겨울 축제인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성화 도착과 함께 개막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 개막까지 단 99일. 평창 그리고 대한민국은 30년 전 뜨거웠던 올림픽 열기를 재현할 준비를 마쳤다.
평창올림픽 성화는 대회 개막 100일을 앞둔 1일 오전 10시경 전세기편으로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지난달 24일 그리스 헤라 신전에서 채화된 성화는 그리스 봉송을 마친 뒤 31일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에 이양됐다.
올림픽 성화가 한국에 온 것은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 30년 만이다. 평창의 꿈을 안고 그리스 곳곳을 누빈 성화는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 2018km을 달린다.
◆1988·2002 그리고 2018
'모두를 빛나게 하는 불꽃' 성화는 이날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국내에 입성, 인천에서 첫 발을 뗐다.
대한민국은 성화 봉송으로 본격 시작될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국민에겐 희망을, 전 세계엔 평화와 화합의 메시지를 전한다. 나아가 변화된 대한민국을 전 세계에 알려 국격을 높인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도착 인사에서 "성화의 불꽃이 전국을 순회하면서 대한민국의 홍보대사 역할을 할 것이며, 대회 기간에는 경기장에서 평화의 전도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낙연 총리는 1988년 올림픽, 2002년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던 대한민국이 다시 한 번 축제의 열기로 물들기를 소망했다.
이 총리는 "올림픽 성화는 대한민국은 물론 세계의 평화와 번창을 염원하며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내내 타오를 것"이라며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은 전 세계가 놀랄 만큼 성공적이었다. 평창올림픽도 멋지게 치러야 한다. 우리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나'된 대한민국
평창올림픽은 한국에서 펼쳐지는 첫 번째 동계올림픽이자, 1988년 서울올림픽에 이은 두 번째 올림픽이다.
30년 만에 돌아온 성화는 아직 개항 전인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의 첫 번째 손님으로 그 의미를 더했다.
한국을 넘어 전 세계인의 꿈을 품은 성화는 이날 인천을 시작으로 제주도를 거쳐 7500명 주자와 함께 전국 2018km를 달린다.
안전램프에 담겨있던 불꽃을 성화봉으로 옮긴 이는 전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 김연아와 이낙연 총리다. 두 사람은 나란히 임시 성화대로 이동해 불을 당겼다.
국내 봉송 주자는 한반도의 평화를 상징한다. 각 분야에서 꿈과 열정을 바탕으로 새 지평을 열어온 사람들(Achievers)과 새 지평을 더욱 열어갈 사람들(Dreamer)이 선정됐다. 남북한 7500만 겨레를 대표하는 주주자 7500명과 지원주자 2018명이 성화와 함께 달린다.
성화는 국내 봉송 첫 주자인 '피겨 유망주' 유영의 손에 들려 인천대교에서 첫 발을 내디뎠다. 첫날 봉송 주자 101명은 각 150m씩 봉송에 참여해 인천대교 14.7km, 송도 시내 5km 등 총 19.7km를 달렸다.
인천대교 구간에서는 유영과 함께 '국민 MC' 유재석과 MBC '무한도전' 멤버들이 봉송에 참여했으며, 가수 겸 배우 수지와 '빙속 여제' 이상화 등 특급 스타들이 발 맞췄다.
인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민 정춘홍(중국)씨를 비롯한 다문화가족, 대를 이어 의료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는 파란 눈의 한국인 인요한씨 등도 주자로 나서 하나된 대한민국을 널리 알렸다.
앞으로 101일간 전국을 순회하게 될 성화는 내년 2월 9일 개회식장 성화대에 점화되며, 대회가 끝나는 날까지 17일간 평창을 밝힌다.
◆최대 규모 출전…목표는 종합 4위
평창올림픽은 내년 2월 9일 강원도 평창의 올림픽플라자에서 개막해 25일까지 평창, 강릉, 정선 일원에서 펼쳐진다.
전 세계 95개국 6500여 명의 선수단은 15개 세부종목에 걸린 102개 금메달을 놓고 17일간 열전을 벌인다.
한국은 역대 최대 규모인 7개 종목 130여 명을 출전시킬 계획이다. 목표는 종합 4위. 금메달 8개를 포함해 총 20개의 메달을 따내 사상 최고 성적에 오르겠단 각오다.
지난 31일 서울 태릉선수촌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 참석한 스포츠인들은 평창에 대한 각오를 전하며 기대를 높였다.
스피드스케이팅의 이상화는 "소치올림픽 때보다 부담감이 덜하다. 평창올림픽 개막 이전에 열리는 대회에서 기록을 단축시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은 "대회 성공을 위해 체육인들이 솔선수범해야 한다.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서 국민들에게 기쁨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