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공공기관·은행권 합동 '금융권 채용문화 개선회의'를 열어 최근 범정부적인 공공기관 채용비리 근철대책 취지를 설명하고, 향후 금융권 채용문화 개선을 위한 금융공공기관과 은행권의 적극적인 동참과 노력을 당부했다./금융위원회
금융권의 '채용 비리' 논란이 불거지면서 금융당국이 특별점검반을 구성해 금융공공기관에 대한 5년간 채용 전수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권 채용문화 개선회의'를 열고 "은행권은 우리 금융시스템의 중추인 만큼 직원 채용에 있어서 누구보다 공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최근 일부 공공기관에서 드러난 채용비리에 대해 공공부문 채용업무 전반을 철저히 점검하고 있다"며 "정책금융을 공급함에 따라 다른 어떤 기관보다 높은 신뢰와 투명성이 요구되는 금융공공기관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우선 특별점검반을 구성해 이달 말까지 7개 금융공공기관에 대해 채용절차 등 과거 5년간의 채용업무 전반을 점검할 예정이다. 예금보험공사·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신용보증기금·산업은행·기업은행·예탁결제원이 조사받게 된다.
5개 금융관련 공직유관단체도 다음 달 말까지 추가 점검하기로 했다. 한국거래소·증권금융·IBK신용정보·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원회가 점검 대상이다.
은행권은 14개 국내은행이 이달 말까지 채용 시스템 전반에 대해 자체 점검을 실시하고, 금융감독원이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 앞서 금감원은 우리은행의 채용비리 자체 감사보고서를 검찰에 통보했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공공기관에서 채용비리가 발생할 경우 관련자에게 상응하는 책임을 묻고 기관 예산편성, 경영평가 등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발적 신고를 독려하기 위해 "금융위 내 '금융공공기관 채용비리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구체적인 구체적인 채용비리 제보가 접수될 경우 과거 5년간의 이력을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금융기관의 인사내규가 올 하반기부터 시행된 블라인드채용을 적용하고 있는지도 살필 것을 당부했다.
김 부위원장은 "채용문화 개선은 외부 감독기관의 특별점검만으로 달성하기 힘들고 개별기관의 자발적 노력이 반드시 전제돼야 결실을 맺을 수 있다"며 "은행권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절차에 따라 채용이 이뤄지도록 인사내규가 잘 정비돼있는지 철저히 점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