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공범자들'의 한 장면. 사진 왼쪽은 최승호 뉴스타파 PD(前 MBC PD), 오른쪽은 김재철 前 MBC 사장./공범자들 캡처
검찰이 김재철 전 MBC 사장의 자택과 방송문화진흥회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이명박 정권 시절 '방송장악' 공작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검사)은 30일 오전 김 전 사장을 포함한 당시 임직원 3명과 MBC 담당 국정원 직원의 주거지, 현재 사무실과 방송문화진흥회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MBC 관계자 중에는 전영배 전 기획조정실장(現 MBC C&I 사장)과 백종문 부사장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들 경영진이 당시 국정원과 협조해 정권에 비판적인 제작진과 연예인들을 퇴출시켰다고 의심한다.
앞서 국정원 개혁위원회는 지난달 18일 국정원이 2010년 3월 2일자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과 같은해 6월 3일자 'KBS 조직개편 이후 인적쇄신 추진방안' 문건을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해당 문건은 개혁위가 같은달 14일 검찰에 수사 의뢰하며 제출한 자료에 포함됐다.
MBC 문건 내 인적 쇄신 관련 부분에는 '참여정부 시절 편파방송을 주도한 인맥이 건재, 노조를 방패막이로 정부시책에 저항하며 주류를 형성' '방송에서도 좌편향 출연자들을 편중 섭외, 왜곡보도 악순환'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좌편향 출연자로 지목된 연예인 중에는 라디오 프로그램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을 진행하던 김미화 씨도 포함됐다. 2011년 4월 방송에서 하차한 김씨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도 포함된 사실이 드러나 지난달 검찰 조사를 받았다.
문건이 작성된 이후 MBC는 '후 플러스'와 'W' 등 시사 프로그램을 폐지했다. 'PD수첩'의 'MB 무릎 기도 파문'과 '4대강 공사장 잇단 사망사고' 등의 아이템은 불방됐다. 기자와 PD들의 해고도 이어졌다. 파업 참가자들이 기존 업무와 무관한 부서로 발령돼 인사권 남용 논란도 일었다.
검찰은 지난달 최승호 전 MBC PD(現 뉴스타파 PD)와 정재홍 전 PD수첩 작가, 이우환·김환균·한학수 PD 등을 불러 피해자 조사를 했다.
최근 조사에서 검찰은 김 전 사장이 국정원 담당관을 만나 해당 문건 내용을 전달받고 논의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전 전 실장과 백 부사장 등이 문건 내용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중요 역할을 한 정황도 파악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MBC 노조는 지난달 20일 '총파업 특보 9호'를 통해 "김 전 사장이 사장 자리에 오르고 사흘 뒤 (국정원 지시에 따라) MBC 모든 관계사 사장들에게 사표를 요구하고 28곳 중 22곳의 사장을 바꿨다"고 주장했다.
김우룡 전 방문진 이사장이 "김재철이 큰집에 불려가 조인트 까이고 MBC 내부 좌파 70~80%를 정리했다"고 말했다는 2010년 4월 '신동아' 보도 시점이 MBC 문건 작성 직후인 점도 거론했다.
검찰은 조만간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할 예정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