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분노와 성냄을 외부로 표출하는 사람들도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타고난 성향이 소심하여 잘 드러내지는 않으나 익명성이 보장되는 인터넷이나 소셜미디어에서 그악한 욕설과 비방을 표출하는 사람들도 의외로 많다. 실제로 악플러로 고소를 당하여 실제로 신상이 드러난 사람들 중 대다수가 학교나 직장 가정에서는 매우 조용하고 온순한 사람이었다는 것에 놀라는 일이 다반사다. 부모님들이나 직장동료들에게는 격한 말이나 감정을 잘 하지 않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내면에서 분출되는 불만족과 화를 익명성이 보장되는 곳에서 표출하며 이글거리는 감정의 분출구로 삼고 있다는 방증일 것이다. 성격이 강한 사람들은 악플로 옮기는 대신 우선 입으로 쏟아내며 분출하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유약한 심리를 가진 사람들은 얼굴에 직접 대고 말할 자신이 없다는 것이 차이라고 하면 차이일까? 보통 사주명리학적으로는 양기가 성한 충살 형살을 가진 사람들이 감정을 자제하지 못하고 밖으로 쏟아내는 성향이 짙다. 여기에 괴강살 양인 살이 있는 경우라면 더더욱 그 성향은 짙어진다. 음기 운이 강한 신약 사주의 사람들 중 역시 충살 형살이 있는 사람들은 아마 댓글 달기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기회가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화를 잘 낸다는 것은 따져보면 자신의 욕구가 채워지지 않는데서 기인하므로 그 기질과 성향은 탐심이 많다는 데서 출발한다. 자신이 하고자 했던 얻고자 했던 대로 되지 않았을 때 화와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석가모니부처님은 화내고 성내는 일을 탐심과 같은 선상에서 보셨고 전혀 이익 됨이 없다고 보았기에 시비에 똑같이 응대하신 적이 없었다. 그 한 일화가 있다. 부처님 당시에 사회의 주류 세력이었던 바라문가의 어떤 이가 자신과 같은 바라문 친척이 석가모니세존에게 출가하였다는 소식에 분노하여 거친 말로 세존을 욕하고 비난하였다. 욕설에도 세존은 침묵하셨다. 그러자 그 바라문은 우쭐하여 "사문이여, 그대가 패배했도다. 사문이여, 그대는 패배했도다."하면서 의기양양해 했다. 그러자 세존은 "어리석은 자 거친 말을 내뱉으면서 자신이 승리했다고 생각하지만 진정한 승리는 그것을 이해하고 견뎌내는 그런 자의 것이로다. 분노에 맞서서 분노하는 그런 자는 더욱 더 사악한 자가 되나니 분노에 맞서서 분노하지 않으면 이기기 어려운 전쟁에서 승리하도다."라고 말씀했다. 이 말에 그 바라문은 부처님의 제자가 된다. 이 교훈이 시사 하는 바를 알 것이다. 아수라와 같은 세상에서 일일이 시비에 맞서는 것 그것은 패배자의 삶이리라./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