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주택 내 낡은 수도관 관리 개선 지침'을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지침은 수돗물 불신 요인 중 하나인 주택 내 낡은 수도관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서울시에 따르면, 녹물 발생 해소를 위해 마련된 이번 지침에는 ▲낡은 수도관 교체완료 시기 단축 ▲수질검사 방법의 개선 ▲자가수질측정기 무료(임대) 제공 ▲교체 공사의 투명성 강화 ▲아리수 품질확인제 우선 실시 등이 담겼다.
이를 위해 서울시 상수도 사업 본부는 주택 내 낡은 수도관 교체 대상 가구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낡은 수도관의 교체율을 높이고 교체 완료 시기도 앞당길 계획이다.
주택 내 낡은 수도관(노후 옥내급수관) 교체 대상은 1994년 4월 1일 이전에 지어지고 녹이 잘 스는 아연도강관을 수도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모든 주택이다.
본부는 아연도강관을 수도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택의 수도관 교체율을 높이기 위해 2007년부터 수도관 교체 공사비의 일부(현재 80%)를 지원해왔다.
그 결과, 지난 8월 기준으로 주택 내 낡은 수도관을 쓰고 있던 전체 56만5000 가구 중 33만3310가구(59%)가 교체를 마쳤다.
또한 본부는 아파트 관리사무소 측에서 냉·온수가 통과하는 배관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억제제(인산염)를 사용하는 59개 아파트에 대해, 녹이 스는 수도관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노후 옥내급수관 교체 지원 사업'을 적극 알리고 녹이 슬지 않는 수도관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20년 이상된 노후 공동주택에 대해 5개 항목(탁도·pH·철·구리·잔류염소)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수질 측정기를 무료로 임대한다.
본부는 안심하고 아리수를 마실 수 있도록 가정 방문해 수돗물 맛과 냄새 감별, 낡은 수도관 교체 지원 안내, 무료 수질검사(5개항목) 등을 포함한 '아리수 품질확인제' 서비스도 하고 있다.
윤준병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주택 내 낡은 수도관 교체를 보다 꼼꼼히 관리하면서 조기에 완료해 서울 수돗물에 대한 녹물 불신을 근원적으로 해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