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제2금융

저축은행, TV광고 막았더니 모바일광고 늘렸다

최근 5년간 저축은행 광고홍보비 지출현황./박찬대 의원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TV광고를 제한하자, 모바일 광고가 급증하는 등 저축은행의 광고홍보 방식이 세분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찬대 의원이 13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저축은행 광고홍보비 지출현황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올 상반기에만 광고비로 514억원을 지출했다.

저축은행 업계의 광고비는 2013년 363억원, 2014년 807억, 2015년 1180억, 2016년 1194억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그중 TV 광고비는 2013년 140억원, 2014년 348억원, 2015년 496억원으로 증가하다가 지난해에는 386억원으로 다소 감소했다. 그러나 줄어든 부분은 인터넷 광고와 모바일 광고가 대체했다. TV광고를 규제하자 맞춤형 광고 전략으로 선회했다는 지적이다.

TV광고 외 광고방식을 살펴보면 인터넷 광고비는 2013년 140억원에서 2014년 274억원 2015년 378억원 2016년 463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2015년부터는 모바일앱 광고방식을 도입하는 곳도 생겨나 2015년 6백만원, 2016년 11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기타광고 방식도 2013년 119억원, 2014년 184억원, 2015년 304억원, 2016년 334억원으로 크게 늘어나고 있었다.

박찬대 의원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TV광고비율이 인터넷 광고비율에 역전된 이유는 금융당국에서 2015년부터 저축은행 광고도 대부업 광고와 같은 TV광고 시간대 규제를 시행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저축은행 광고는 대부업과 동일하게 케이블에서 평일 오전 7~9시 평일 오후 1~10시 휴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금지돼있다. 또한 광고 내용이나 형식에 대해서도 동일한 규제가 적용된다.

박 의원은 "2013년을 기점으로 3년 만에 저축은행 광고홍보비가 3배 이상 급증하자 국민들로부터 개선 필요성의 목소리가 커졌고 국회 차원에서도 저축은행 및 대부업체의 TV광고를 제한하는 법안을 잇달아 내놓자 광고방식을 슬며시 바꿔나가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도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는데 무분별한 대출광고가 이어질 경우 여신건전성의 악화가 우려된다"며 저축은행들이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적절한 규제조치에 순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