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인천공항 출국장 여행사 부스에서 이용객들이 해외여행에 대한 문의를 하고 있다./뉴시스
긴장과 불안에 휩싸여 달려오던 '2030 청춘'들이 10월 달력을 펼치며 환호성을 지르고 있다. 대기업 직원들은 높은 상여금으로 풍성한 연휴 준비를 마쳤지만, 업계가 불황이거나 프리랜서인 이들은 연휴가 그리 달갑지는 않다.
해외에서 추석을 맞는 청춘의 달력은 여행 일정으로 빼곡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소재 한국계 회사에서 일하는 김모(27·여)씨는 이번 연휴에 부모님과 유럽 여행을 떠난다. 김씨는 "추석 연휴가 길어 한국인이 많이 오는 것으로 안다"며 "우리 가족은 독일 밤베르크와 스위스 융프라우 등지를 돌며 추억을 수확하기로 했다"며 웃었다.
국내에선 두둑한 봉투를 들고 고향땅을 밟기도 한다. 반도체 대기업에 다니는 류모(26·여)씨는 기본급의 50%를 상여금으로 받는다. 류씨는 "고향인 안동에서 푹 쉴 계획"이라며 "계약서에 쓰인대로 받을 뿐, 원래 연봉에 포함돼 있다"며 겸연쩍게 웃었다.
외국계 의료기기업체 사원 이모(31)씨는 "이쪽 시장이 경기 침체로 인한 영향이 비교적 적은 편"이라며 "국내 여행으로 그동안 지친 심신을 달랠 생각"이라고 말했다.
반면 조선업계는 상여금이 끊겨 울상이다. 최근 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 등 조선3사가 1조원에 달하는 수주에 성공했지만, '허리띠 졸라메기'는 여전하다.
대형 조선사에서 일하는 이모(32) 씨는 "조선업 침체 여파로 다들 무거운 마음으로 명절을 맞이하고 있다"며 "추석 선물도 없어지고 월급도 줄었다"고 한숨을 쉬었다.
이어 "명절만 되면 덕담 아닌 덕담으로 다들 '너희 회사 괜찮느냐'고 물어보는데, 이런 일이 반복되니 부담스럽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직장인은 그나마 정해진 월급을 받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하루하루가 아깝다. 중소기업을 다니다 지난 봄부터 통역 프리랜서로 일하는 양모(28·여)씨는 "10월 중 3분의 1이 날아가 힘들다"며 "연휴 기간 부산에서 스마트폰 홍보 행사가 하나 있지만, 기존 에이전시 대표와 친분을 쌓은 사람들이 겨우 들어가는 정도여서 수입이 걱정"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프로젝트 단위로 일하는 프리랜서도 고달프기는 마찬가지다. 정부기관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평가하는 외부 전문가인 변모(31·여)씨는 28일 몽골로 출장을 떠난다. 그는 평소 대학교에서 강의도 하고 있어, 추석 연휴를 이용해 출장에 나섰다.
변씨는 "10월 2일에 귀국했다가 8일 다시 캄보디아로 떠난다"며 "(캄보디아를) 연휴에 가려고 했지만, 여행객이 많아 항공권을 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싱글이라 명절에 출장 가는 점은 좋다"면서도 "발주 기관들이 보고서 제출일을 추석 직후로 잡아놔서 집에 있는 동안 보고서를 써야 한다"고 아쉬워했다.
또 "항공권이 생각보다 비싸서 프로젝트 비용에 타격이 있다"고 난감해했다.
자영업자의 경우 수입이 줄어 월세 걱정한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지만, 무엇을 파느냐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최근까지 경기도 수원시에서 호프집을 운영하던 김모(31)씨는 "한달 수입이 800만원이라 월세 100만원은 별 걱정이 없었다"며 "다른 곳은 몰라도 술집은 명절에 어린 친구들이 제사 마치고 찾아와서 오히려 꿀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