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직장인 5명 중 2명, 추석 귀향 포기"

"직장인 5명 중 2명, 추석 귀향 포기"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최대 10일의 연휴를 보장받게 된 직장인들 중 9.4%가 '귀향 계획이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직장인 83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추석 귀향 계획' 조사 결과, 직장인 39.4%는 '귀향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결혼 여부로 살펴보면, 귀향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미혼 직장인이 44.6%로 기혼 직장인(28.4%)보다 1.5배 이상 높았다.

귀향 계획이 없는 이유는 '그냥 편하게 쉬고 싶어서'(37.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여행 등 다른 계획이 있어서'(19.5%), '출근해야 해서'(19.5%), '지출 비용이 부담스러워서'(17.6%), '잔소리를 듣기 싫어서'(11.6%), '교통대란이 걱정되어서'(8.2%) 등의 이유를 들었다.

또, 고향에 내려가지 않는 대신 '집에서 휴식'(58.7%, 복수응답)을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여가 및 문화생활'(31.9%), '여행'(28.9%), '친구, 지인과 만남'(26.1%), '이직 준비'(20.4%), '업무'(17.9%) 등의 의견이 있었다.

그렇다면 귀향 계획이 있는 직장인들의 추석은 어떠할까? 귀성 예정일은 추석 전 날인 '10/3(화)'이 28.3%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10월 2일(월)'(22.8%), '9월 30일(토)'(15.6%), '10월 4일(수)'(11.1%), '10월 1일(일)'(9.5%) 등의 순이었다.

또, 귀경 예정일은 추석 다음날인 '10월 5일(목)'(22%)과 추석 당일인 '10월 4일(수)'(21.2%)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외로는 '10월 6일(금)'(13.3%), '10월 9일(월) 이후'(10.3%), '10월 8일(일)'(9.9%), '10월 7일(토)'(9.5%) 등이 있었다.

귀향 시 이용하는 교통편은 '승용차'(70.7%,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단연 많았으며, 이밖에는 '고속버스'(11.9%), '기차(KTX, 새마을 등)'(11.5%), '지하철'(6.1%)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올 추석 연휴에 평균 7일을 쉬며, 23.9%는 '대체휴일(10/6)'에 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연휴 예상 지출은 평균 41만원으로, '부모님 용돈 및 선물'(55%)을 가장 많이 지출한다고 답했다. 다음은 '여행비'(10.2%), '식비(음식 마련, 외식 등)'(9.8%), '친척 용돈 및 선물'(7%), '여가, 문화생활비'(6.8%), '교통비'(5.5%) 등의 순이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