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산지 1:1 매칭 '도농상생 공공급식' 6개 자치구로 확대
강동구에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금천구, 성북구 등도 오는 10월부터 산지의 친환경 농산물을 직거래한다고 서울시가 10일 전했다.
이들 6개 자치구는 '친환경 식재료 직거래 공공조달시스템'을 통해 건강한 식재료를 공공급식시설(어린이집, 복지시설 등)에 적정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농상생을 실현할 방침이다. 새로 5개 자치구에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하는 기초지자체는 강원도 원주시(도봉구), 충남 부여군(강북구), 충남 홍성군(노원구), 전남 나주시(금천구), 전남 담양군(성북구)다.
서울시는 최근 살충제 계란, GMO 농약 등 먹거리 안전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친환경 공공급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내 총 6개 자치구로 도농상생 공공급식을 확대 시행함으로써 서울시민의 건강한 먹거리 가치 실현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신규 5개 자치구는 10월 본격 시행에 앞서 관내 어린이집 등 공공급식시설을 모집하고 자치구 공공급식센터 민간위탁 수탁기관 선정을 위한 구의회 동의 등 사전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또한 산지 기초지자체에서는 친환경농산물 생산 지원, 식재료의 품질 관리 및 안전성 검사체계 재정비, 중소가족농 중심으로의 생산자조직 육성 및 활성화, 결품·클레임 등에 대비한 보완체계 마련 등 건강한 식재료의 안정적 공급체계를 준비하게 된다.
1:1 매칭된 자치구와 산지 기초지자체간 친환경 공공급식 업무협약 체결 후 식재료 직거래뿐만 아니라 식생활 교육 및 도농간 교류·체험 같은 인적교류도 본격 시작한다. 시는 이와 같은 다양한 교류를 통해 생태적 가치를 이해하고 도농간 연대감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올해 6개를 자치구 대상으로 하는 도농상생 공공급식 시범사업의 성공적 모델을 토대로 '19년까지 25개 전 자치구에 공공급식센터를 설치 운영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