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지주 차기 회장에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사진)이 내정됐다.
BNK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차기 회장에 김지완씨 내정…순혈주의·적폐 타파할 듯
지방 최대 금융지주 BNK금융지주를 이끌 수장에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이 내정됐다. BNK금융이 창립 이후 처음으로 외부 인사를 CEO(최고경영자)로 선임한 만큼, 김 내정자가 BNK금융의 순혈주의와 각종 적폐를 전면 쇄신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BNK금융지주는 8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박재경 BNK금융지주 회장 권한대행, 김지완 전 부회장, 정민주 BNK금융경영연구소 대표 등 3명의 최종 후보군을 대상으로 차기 회장 선임을 논의한 결과 김 전 부회장을 최종 후보자로 결정했다.
이날 임추위는 오전 10시 30분부터 5시간에 걸쳐 회의한 끝에 합의를 도출했다.
그동안 임추위는 외부 출신인 김 내정자와 내부 출신인 박재경 대행을 두고 팽팽히 맞서 왔다. 임추위는 지난달 17일 최종 후보 3인에 대한 면접 후 바로 회장 후보를 선출할 계획이었으나 실패했고, 8월 21일 2차 회의에서도 끝내 결론을 내지 못한 바 있다. 그러나 더 이상 그룹의 경영 공백을 장기화할 수 없어 세 번째 회의에서 합의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내정자는 부산상고와 부산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한 뒤 1977년 부국증권 입사를 통해 금융권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부국증권 사장, 현대증권 사장, 하나증권에서 모두 사장직을 맡아 금융업계 CEO 경력만 14년이다. 2008년부터는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으로서 '종합금융인'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각종 논란에 휩싸인 BNK금융을 리더십 있게 이끌어갈 적임자라는 평이 나오는 이유다.
김 내정자가 최종 후보자로 결정되면서 BNK금융의 대대적 조직 쇄신이 예상된다.
BNK금융은 지난 4월 자사 주가 조작 혐의 등으로 성세환 전임 회장이 구속되면서 비상경영체제로 운영되다가, 7월부터 차기 회장 인선 절차를 밟아왔다. 성 전 회장의 주가조작 논란 등이 제왕적 구조 등 내부 적폐에서 초래된 부작용인 만큼 대대적인 조직쇄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거셌다. 외부 출신인 김 내정자가 차기 회장이 되면서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지주의 지배구조를 쇄신하고 순혈주의 등 BNK금융을 둘러싼 각종 적폐를 청산해나갈 수 있을 것이란 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다만 노조와의 불협화음은 김 내정자가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로 보인다.
부산은행 노조는 외부 인사가 회장이 된다는 것이 거부감을 보여왔다. BNK금융이 내·외부적으로 풍랑을 맞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있는 내부 출신이 회장으로 와야 조직을 안정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김 내정자가 노무현 전 대통령과 고등학교 동문이고 과거 문재인 대통령 선거캠프에서 경제고문으로 활동했다는 점 등으로 '낙하산 인사'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김 전 부회장이 그동안 맡았던 기관에서 노사 화합을 잘 이끌어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에도 노조와의 갈등을 잘 극복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 내정자는 오는 27일 BNK금융 정기 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치게 되면 회장으로 취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