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 미국 카셰어링 1위 업체 투로에 지분투자를 단행한다. /SK㈜
SK㈜가 카셰어링 투자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SK㈜는 미국 개인 간(P2P) 카셰어링 1위 업체인 투로(TURO)에 지분 투자를 하고 글로벌 카셰어링 시장에 진출한다고 7일 밝혔다. 투로는 사업 확장을 위해 최근 총 1000억원 규모의 펀딩을 실시한 바 있다.투로는 2009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카셰어링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현재 미국과 캐나다, 영국 내 5000여 개 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매년 두 배에 가까운 고속 성장을 보이고 있어 자동차 업계의 에어비앤비라는 평가를 얻었다.
이번 지분투자에는 메르세데스 벤츠를 보유한 독일 자동차 그룹 다임러AG도 SK㈜와 함께 참여했다.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공유경제 확산에 따라 급성장 중인 카셰어링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2000년 이후 유럽과 북미에서 본격적으로 사업화된 카셰어링 서비스는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전 세계로 확산 중이다. 회사가 소유한 차량을 빌려쓰는 B2C 카셰어링 모델과 달리 투로는 개인이 소유한 차량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이용자는 요금이 저렴하고, 차주는 자동차로 돈을 벌 수 있어서 합리적 소비와 공유경제에 익숙한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다.
SK㈜의 카셰어링 투자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SK㈜는 '글로벌 투자전문 지주회사'를 목표로 지난 2015년 국내 카셰어링 1위 업체 쏘카에 지분 투자했다. 쏘카는 SK그룹이 보유한 자산을 활용해 회원수 300만명·누적 예약 1000만건 돌파 등 빠르게 성장 중이다.
최근 SK㈜는 쏘카와 함께 말레이시아 카셰어링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해외 진출에도 시동을 걸었다. 말레이시아 카셰어링 서비스는 올해 말 상용화될 예정이며 이후 다른 아시아 국가로의 서비스 확대도 검토 중이다.
SK㈜ 황근주 PM1부문장은 "다수 투자 후보자 가운데 카셰어링·ICT 서비스 역량을 지닌 SK가 투로의 선택을 받았다"며 "이번 투자를 통해 쏘카-투로-말레이시아 JV 사이 운영 노하우 교류와 동반성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